코로나19를 비롯한 보건 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가 정식으로 출범한다.
외교부는 29일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를 출범시키는 첫 회의를 오후 8시 1.5트랙(반관반민) 실무 화상회의 형식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월 23일 제75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초국경적 보건 위기에 역내 국가들이 힘을 모으자는 취지로 북한과 중국, 일본, 몽골에 협력체 창설을 제안한 바 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 몽골 5개국 외교·보건 과장급 당국자들과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이들은 향후 협력 방안 등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할 방침이다.
다만 일본은 주한일본대사관 관계자가 회의에 참석하지만 협력체 참석 여부에 대해서는 더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당초 정부 구상에 포함됐던 북한 역시 협력체 제안에 아직 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는 이번 출범회의를 발판으로 관련국 간 실질적인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면서 북한을 비롯해 다른 국가들의 참여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북한이 협력체에 참여하면 한반도 평화 기반 강화를 위한 대화나 협력을 진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대응 관련 역내 협력이 시급한 만큼 향후 북한의 참여에 대해서도 문을 열어두면서 가능한 국가 간에 협력체를 우선 출범시키게 됐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