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최근 영국에서 유행 중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현재 국내 지역사회에서 전파되고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9일 코로나19 대응 관련 백브리핑에서 ‘영국발(發)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확진자가 뚜렷하게 감소하지 않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변이 바이러스가 지역사회에서 전파되고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답했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확진자를 대상으로 유전자 검사를 하고 있으나, 변이 바이러스는 최근 영국에서 입국한 일가족에게서만 유일하게 검출됐고, 지역사회 감염자 중에서는 변이 바이러스가 나온 사례가 없다”고 설명했다.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보다 70% 정도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진 변이 바이러스는 영국뿐 아니라 일본,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스페인, 스웨덴 등 20여개국에서 확인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변이 바이러스 감염으로 확진된 이들은 지난 22일 영국에서 귀국한 일가족 3명뿐이다. 정부는 변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바이러스 유전체의 모든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는 전장유전체 분석을 현재까지 1660건 이상 시행했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도 이날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에서 밝힌 바와 같이 현재까지 3명에게서만 발생했다”며 “탑승객은 모두 관리하는 가운데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다른 가족에 대해선 유전체 전장 분석 중”이라고 했다.
손 전략기획반장은 “현재까지 방역 관리망하에서 검역 과정 중 영국발 확진자를 잡아냈으며, 지역사회 감염경로를 틈 없이 격리하고 유전자 전장 분석을 통해 잡아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방역이) 뚫렸다’는 것은 방역 통제망 밖으로 감염이 유입되는 경우를 말한다”며 “표현에 있어서 지나치게 공포심을 자극하는 것은 자제해주길 요청한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영국발 항공편 운항 중단 조치를 내년 1월 7일까지 연장하고, 영국과 남아공에서 들어오는 이들은 국적에 관계없이 입국 시 유전자 증폭(PCR) 음성확인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했다. 또 격리면제서 발급제한 기간은 내년 1월 17일까지 연장한다.
여기에 더해 자가격리 해제 전 추가 진단검사를 해외 입국자 전체로 확대해 입국 관리를 대폭 강화한 상태다.
이와 관련, 윤 방역총괄반장은 “모든 해외 입국자에 대해선 전반적으로 방역 관리망 내에 들어오더라도 거의 통제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