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보궐선거가 100일도 채 남지 않았다. 야권에서는 후보 단일화 방안을 놓고 다양한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윤상현 무소속 의원은 29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서울시장 후보를 세울 야권 플랫폼으로서 얼마 전 출범한 비상시국연대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비상시국연대는 범중도보수 정당 및 시민단체가 연대해 현 정권의 폭거에 저항하기 위해 출범시킨 단체”라며 “권력을 잡기 위한 것이 아니라 비상시국을 극복하는 데 방점을 둔 모임이라 현 상황에서 가장 공정하고 확장성 있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0일 국민의힘을 비롯한 보수진영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은 연석회의를 열고 ‘폭정종식 민주쟁취 비상시국연대’를 출범했다.
윤 의원은 “10년 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떠올려보면 당선자인 박원순 후보는 민주당 후보가 아니라 시민단체 출신 무소속 후보였다”며 “민주당은 단일화 경선에서 패배했지만 이를 기꺼이 받아들이면서 정권교체의 균형추를 민주당으로 가져오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구도도 크게 다르지 않다”며 “제1야당이 좀 더 비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워야 채울 수 있고 내려놓아야 잡을 수 있다”며 “야권 단일화를 이루려면 모두가 대승적으로 양보하고 화합해야 한다. 정권교체는 바로 그 지점에서 시작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야권 단일화를 위해 당내외 인사들이 폭넓게 참여할 수 있는 경선 방식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꾸준히 나오는 상황이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3일 “당외 인사들에게도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당원투표를 빼고 100% 시민경선을 채택해야 한다”며 “우리 당이 과감히 기득권을 내려놓고 오로지 국민의 뜻만 귀하게 받들 때 야권 승리의 길을 열어젖힐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장제원 의원 역시 지난 27일 “당 밖에 있는 인사에게 국민의힘 당원투표 20%를 반영하겠다는 것이 어떻게 공정한 경선이냐”며 “탐색전이나 샅바싸움은 생략하고 담백하고 깔끔하게 단일화 경선 방식에 합의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야권 단일화의 방법론을 두고 다양한 주장이 분출하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30일 4·7 재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경선 방식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