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추가 유입을 막기 위해 모든 외국인의 신규 입국을 금지한 가운데 한국 정부가 영국발 항공편에 대한 운항 중단 조치를 내년 1월 7일까지 1주일 연장한다. 규모와 기간 모두 일본보다 느슨하지만, 정부는 기존 입국 관리로도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의 입국자 방역관리 강화 조처를 발표했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영국발 항공편 운항중단 조치를 1주일 더 연장하고, 또 영국·남아프리카공화국발 입국자(경유자 포함)에 대해서는 PCR 음성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제출 대상을 내국인을 포함한 모든 입국자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영국 변이 바이러스가 영국뿐 아니라 타 국가에서도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오는 모든 입국자를 대상으로 격리해제 전 추가적인 진단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영국과 남아공발 입국자에 대한 기존 격리면제서 발급제한 기간을 내년 1월 17일까지 연장하고, 외교·공무 및 인도적 사유 외의 신규비자 발급도 중단키로 했다. 항공편 운항중단 조치도 상황에 따라 추가 연장될 수 있다.
정부의 이같은 결정은 현 입국 관리가 충분히 효과적이라는 판단에서 나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일본처럼 ‘외국인에 대해 신규 입국금지를 다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을 수 있겠지만, 기존에 해 왔던 입국관리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그 연장선에서 강화된 조처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 24일부터 영국에서 공항·항만 등을 통해 넘어오는 외국인의 신규 입국을 금지했다. 이에 더해 이날부터 영국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와 지역에서의 외국인 신규 입국을 내년 1월 말까지 일시 정지시켰다. 자국 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나온 결정이었다.
정부도 앞서 지난 23일부터 오는 31일까지 영국 런던 히스로공항에서 출발해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하는 항공편의 운항을 일시 중단하고, 모든 영국발 입국자에 대해 격리해제 전 진단검사를 의무화하긴 했다. 다만 이날 추가 조처를 포함해도 모든 외국인의 신규 입국을 막은 일본과 비교할 때는 훨씬 약한 대응이다.
한편 이날 국내에도 영국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방대본은 “영국발 입국자 3명에게 확보한 검체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영국 런던에 거주하던 가족으로 지난 22일 입국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