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둥이 혈투의 앙금…印 “중국인 태우지 마” 항공사에 지시

입력 2020-12-28 14:43 수정 2020-12-28 15:03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AP 연합뉴스

올해 히말라야 국경 분쟁 지역에서 중국과 유혈 충돌을 벌인 인도 정부가 각 항공사에 자국행 여객기에 중국인을 태우지 말라는 비공식 지시를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몽둥이·투석질에 이어 스텔스 전투기로 무력시위를 벌인 양국의 국경 갈등이 민간에까지 피해를 미치는 모양새다.

28일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는 인도 국내외 항공사가 지난 주말 동안 당국으로부터 이런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일부 항공사는 중국인의 탑승을 금지하기 위해서는 근거가 필요하다며 관련 지시사항을 문서로 전달해 달라고 당국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중국을 비롯해 대다수 국가에 대한 국제선 운항을 중단한 상태다. 이에 따라 국내선과 특별기, 미국·아랍에미리트(UAE) 등 일부 국가와의 양자 운항만 이뤄지고 있다. 인도 정부의 지시에 따르면 중국인은 양자 운항된 여객기를 통해 인도로 입국할 수 있는 길마저 막히는 셈이다.

지난 6월 16일(현지시간) 인도 보팔에서 현지 활동가들이 중국과의 국경충돌로 자국 군인이 사망한 것에 항의하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사진을 불태우고 있다. EPA 연합뉴스

지난 6월 22일(현지시간) 인도군 트럭들이 중국과 국경 유혈 충돌이 일어난 라다크지역 갈완계곡으로 향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인도의 이러한 입국금지 조치는 중국이 지난달 초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인도 선원의 입항을 막는 등 입국을 먼저 금지하자 보복에 나선 것이라고 타임스오브인디아는 설명했다. 매체는 “중국 측 조치로 인해 외국 상선에 탑승한 인도인 1500명가량이 피해를 봤다”고 했다.

앞서 인도에서는 지난 6월 국경 유혈 충돌 이후 중국산 제품에 대한 보이콧에 더해 각종 프로젝트 취소 등 퇴출 목소리가 고조된 상태다. 정부도 비관세 장벽 등 여러 수단을 동원해 중국산 제품 수입을 막으려 한다. 특히 주권, 국방, 공공질서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동영상 플랫폼 틱톡 등 중국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260개를 이미 금지했다.

지난 6월 22일(현지시간) 인도 폭격기가 인도 라다크 지역에서 히말라야를 배경으로 비행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