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사망자 절반으로…대전시 1000억원 투입

입력 2020-12-28 13:56
차대사람 사고 감소를 위해 설치된 횡단보도 집중조명.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교통사고 사망자를 현재의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2022년까지 1033억원을 투입한다고 28일 밝혔다.

대전은 지난해 자동차 1만대 당 총 115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며 전국에서 사고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지난해의 경우 교통사고 사망자 73명 중 차대사람 사고는 전체의 절반이 넘는 40건(54.8%)으로 조사됐다. 보행사망자 40명 중 65세 이상은 21명(52.5%)에 달했다.

교차로 내 교통사고로는 44명이 숨졌는데, 야간 교통사고로 숨진 사람의 수는 27명(61.4%)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시는 무단횡단 방지시설 설치를 위해 무단횡단 상습지역, 경찰청·민원 요구 지역 등에 대한 1차 전수조사를 완료했다.

총 38억원을 들여 무단횡단이 잦은 68곳(15㎞)에는 중앙차선 무단횡단 방지펜스를, 보도·차도 경계지역 35곳(12㎞)에는 보행자 방호울타리를 설치한다.

야간시간대 사고예방을 위한 교차로 조명탑은 35곳에 71개를 만들고 횡단보도 집중조명은 총 780개를 설치한다. 노후 가로등 1400개의 교체작업과 교통신호기·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사업에는 442억원을 투입한다.

첨단교통시스템을 접목한 교통사고 감소 대책도 추진된다. 시는 150억원을 들여 차량과 차량, 차량과 기지국 간 교통정보를 공유하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을 주요 간선도로 134㎞에 설치할 예정이다.

또 터널 내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터널관리시스템’을 도솔터널에 도입하고, 73개 교차로에는 스마트신호제어시스템을 구축한다.

내년 4월부터는 차량속도 제한을 통해 보행안전을 확보하는 ‘안전속도 5030’정책도 시행된다. 이 정책이 시행되면 간선도로는 시속 50㎞, 이면도로는 시속 30㎞로 속도가 하향 조정된다.

시는 이밖에 어린이·노인·장애인보호구역 124곳을 확대하는 한편, 연간 5건 이상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곳을 대상으로 신호등 위치조정과 횡단보도 신설 등을 추진한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신호기와 무인교통단속카메라 설치에는 260억원을 투입한다. 또 초등학교 주변 보도설치 등에도 106억원을 투입하며 어린이가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든다.

한선희 대전시 교통건설국장은 “대전시민이 1년에 70~80명씩 교통사고로 숨지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내년에는 전체 사망사고의 50%를 차지하는 차대사람 사고, 즉 무단횡단 등으로 인한 사고 제로화(Zero化)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