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이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하면서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의 국회 입성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김 의원은 의원직 사퇴에 대해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취지의 답변을 내놓으면서 “서울시장 출사표를 던진 사람에게 ‘빨리 비키라’는 이야기를 하지 말아 달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김 의원은 27일 오전 11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초의 도시 전문가 출신 서울시장으로 서울시가 직면한 어려운 문제들을 쉽게 풀어내 서울시민들이 웃음을 지을 수 있는 서울을 만들겠다”며 시장 출마를 공식화했다.
이후 김 전 대변인의 국회 입성 가능성이 급부상했다. 김 의원이 열린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로 확정돼 출마하게 되면 의원직을 사퇴해야 하고 해당 의원직은 후순위인 김 전 대변인이 이어받기 때문이다.
열린민주당은 지난 총선 비례대표 투표율 5.42%를 얻어 의석 3석(김진애·강민정·최강욱)을 차지했다. 당시 4번이던 김 전 대변인은 국회 입성에 실패했다. 공직선거법상 공직자의 보궐선거 출마 시 공직 사퇴 기한은 선거일 30일 전으로 내년 3월 8일이다.
비례대표 국회의원 궐원이 발생하면 선거관리위원회는 10일 이내에 선거 후보자 명부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 의석을 승계할 자를 정하게 된다. 다만 김 의원이 서울시장 레이스를 완주할지 미지수다. 지난 7일 ‘열린 공천’ 방식으로 당내 경선 룰을 발표한 열린민주당은 당원 50%, 지역시민 50% 추천을 받은 뒤 전 당원 투표를 통과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더불어민주당과 단일화 가능성도 있다.
김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서울시장 출마에 따른 의원직 사퇴에 대해 “지금 답하긴 적절한 시점 같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모든 선거법, 모든 제도는 그에 따라 진행되는 게 맞을 것”이라고 한 김 의원은 “내가 서울시장 후보로서 충분하게 여러분의 지지를 얻는다면 여러 가지 흥미로운 장면들이 앞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의원직 승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서울시장 출사표를 던진 사람에게 ‘빨리 비키라’는 이야기를 하지 말아 달라”고 답했다.
앞서 지난 4·15 총선 당시 강성 친문 지지자들 사이에선 ‘김진애 사퇴 운동’이 벌어졌다. 문 대통령의 강성 지지자들과 열린민주당 지지자들은 자신의 SNS에 ‘김진애는 사퇴하라’는 글과 해시태그를 달았다. 이들은 “비례대표 4번으로 낙선한 김의겸 후보가 국회에 입성하기 위해 김진애 당선인이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친문 지지자는 당시 김 당선인을 향해 “아름다운 양보로 열린민주당 비례대표를 사퇴하라. 대승적 차원에서 검찰 개혁과 언론 개혁이 절실하다”는 SNS 글을 게시했으며, 다른 지지자는 “김의겸을 국회로 보내서 일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열린민주당 지지자들이 가짜뉴스라며 반발했었다.
언론인 출신의 김 전 대변인은 2018년부터 청와대 대변인으로 일해 오다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져 이듬해 사퇴했다. 총선을 앞둔 지난해 12월 민주당 예비후보로 전북 군산 출마를 선언했지만 당시 제기된 서울 흑석동 부동산 투기 의혹 여파로 결국 불출마한 뒤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후보로 선회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