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29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사표를 수리하고, 3∼4개 부처 장관을 교체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논란 등에 책임을 지고 물러날 뜻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집권 5년 차를 코앞에 두고 추 장관과 윤 총장의 갈등, 코로나19 백신 논란을 조기에 수습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27일 여권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르면 29일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개각 대상에는 추 장관 외에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후보군인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포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 법무부 장관으로는 검사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소병철 의원이, 문체부 장관으로는 지난 23일 차관급 인사에서 물러난 정재숙 전 문화재청장이 거론된다. 다만 중기부·문체부의 경우 박 장관의 출마 여부와 후임자 인선 문제가 해소되지 않아 이번 개각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 내부 개편은 2년 가까이 문 대통령을 보좌해온 노 실장의 교체 여부가 주목된다. 청와대는 이번 개각 발표 때 노 실장의 퇴진을 공식화하거나, 아니면 후임자 물색을 거쳐 내달 중순 교체하는 방안을 염두에 두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 실장의 후임으로는 그동안 우윤근 전 주러시아대사,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최재성 정무수석 등 여권 인사들이 거론돼 왔다. 다만 현재는 제3의 후보가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우 전 대사는 이달 중순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러시아를 방문하고 귀국한 뒤 개인 사정을 이유로 고사 의사를 분명히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최근 “대통령께서 외롭지 않도록 뭔가 할 일을 찾아야겠다”고 밝힌 임종석 전 비서실장의 재기용 가능성도 거론된다. 다만 국민에게 새로운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측면에서 임 전 실장의 청와대 복귀는 힘들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특히 후임 비서실장 후보군에는 정치인이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임기말 공직사회 기강 확립 차원에서 공무원 출신 ‘관리형’이 발탁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번주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을 지명할 것으로 보인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