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발레단과 KBS가 기획한 언택트 공연에 일부 네티즌이 무용수 학대 비판을 가하고 있다. 실내 공연을 하는 무용수에게 추위 등을 무시한 채 야외 활동을 강요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국립발레단은 “어려운 시기 국민을 위로하기 위해 영상을 제작하게 됐고, 이에 단원들이 동의 하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24일 방송된 KBS 1TV ‘우리, 다시: 더 발레’는 코로나19로 지친 국민들에게 위로를 전하고자 세상 밖으로 나온 국립발레단의 아름다운 도전이 그려졌다.
강수진 단장이 이끄는 국립발레단은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 전남 신안 태평염전, 경주 불국사 등 7곳의 명소를 돌아다니며 다채로운 무대를 구성했다.
국립발레단은 ‘우리, 다시: 더 발레’ 무대를 위해 부상을 딛고 연습을 강행하는 등 열정 넘치는 모습을 보였다. 비하인드 영상에서는 아스팔트 위에서 토슈즈가 해질 정도로 연습을 거듭하는 모습이나 추위와 싸워야 했던 고군분투의 순간들이 고스란히 담겼다.
몇몇 네티즌들은 “무용수들 학대하는 걸 예술이라고 포장하지 말라” “멋있다는 말보다 무용수들 춥겠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염전에서, 시멘트 활주로에서, 흙바닥에서 토슈즈라니요” “영상을 보는 내내 눈을 찌푸렸다” 등의 댓글을 달며 비판을 가했다. ‘코로나로 지친 국민을 위로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수들을 학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국립발레단 측은 촬영을 위해 연출한 부분이 있지만 무용수 건강과 안전을 모두 고려했으며, 프로젝트에 참여한 단원에게 모두 동의를 받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무용수가 땀이 식어 떠는 장면이 나오지만 위험한 수준이 아니고, 아스팔트에서 발레하는 장면에서는 원래 있어야 할 점프를 뺐다고 덧붙였다.
한 관계자는 “일부 네티즌들이 무용수를 혹사시켰다고 댓글을 달았지만 그런 내용은 많지 않은데다 오히려 좋았다는 반응이 많았다”면서 “공공성을 위해 국립발레단이 국민 위로 차원에서 제작된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양재영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