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정 팀장·전은진 주무관, ‘경북도 MVP 공무원 선정’

입력 2020-12-27 10:02

경북도는 올 한해 시책 추진에 크게 기여한 통합신공항추진단 김미정 팀장 등 2명을 MVP로, 4차 산업기반과 홍인기 팀장 등 8명을 시책 유공 공무원으로 선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철우 도지사가 이끄는 민선 7기 새 바람 행복호는 “변해야 산다”는 이 지사의 도정 철학을 바탕으로 한 해 동안 전 직원들이 ‘사중구생’(死中求生)의 정신으로 숨 가쁘게 달려온 결과,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그 중심에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확정’이라는 경북도 유사 이래 최대의 성과물을 만들어 냈다. 또 올 한 해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대·내외적으로 역량을 결집한 해이기도 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경북도의 국난 극복 정신은 빛을 발했고 확산 초기 어느 지역에서도 시도하지 못한 전 복지 시설 ‘예방적 코호트 격리’를 단행하는 등 K방역을 경북이 선도해 초기 지역 감염 확산세를 꺾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렇듯 2020년 한 해 경북도를 대표하는 최대 현안인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확정’과 ‘코로나 19의 선제적 대응’은 경북도를 대표하는 MVP 공무원 선발로 이어졌다.

경북도 대표 MVP 공무원으로 선정된 통합신공항추진단 김미정 팀장은 통합신공항 이전 사업비 갈등 합의 조정 지원, 관계 기관 갈등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중재 역할을 했다.

또 국방부 선정 기준(안) 마련 건의 지원, 주민투표 실시 지원, 인센티브 마련을 통해 난항을 겪던 통합신공항 이전지 선정에 큰 공헌을 하는 등 도정 최고의 성과를 달성했다.

또 한 명의 MVP 공무원으로 선정된 보건정책과 전은진 주무관은 코로나19 확산 초기 하루 100여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 속에서 코로나19 확산 대응 방역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한 공적이 인정됐다.

특히 확진자 데이터 관리 체계 마련, 선제적 대응을 위한 방역 장비 및 물품 지원, 공중보건의사 의료 인력 지원 등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크게 공헌한 점이 인정됐다.

시책유공 공무원으로 선정된 4차 산업기반과 홍인기 팀장은 안동햄프 규제자유특구 지정, 지능형 SOC모듈화 지원 사업 추진으로 기업 투자유치와 산업단지 활성화에 기여했다.

에너지산업과 류시갑 팀장은 경상북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공모 사업 1조 312억원 확정, 수소 연료전지 발전클러스터 예타 사업 추진에 유공이 인정됐다.

도로철도과 권윤혁 주무관은 2021년 SOC 분야 국가 예산 2조 7000억원 확보, 제2차 고속도로건설 5개년 계획 추진 등 미래 경북 SOC 재도약 기반을 마련했다.

농식품유통과 조옥숙 주무관은 비대면 농산물 판매처인 경북농특산물쇼핑몰 ‘사이소’를 통해 최대 매출액(150억)을 달성했고 이철우 표 ‘농특산물 품앗이 완판 운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경산소방서 이화순 소방위는 경북형 아이행복프로젝트 ‘119아이행복돌봄터’를 추진하고 소방장비발전 연구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등 각종 소방 안전 대책 수립에 기여했다.

정책기획관실 허윤홍 팀장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추진 기본구상(안) 마련, 공론화 위원회 운영 지원 등을 통해 행정 통합 추진의 발판을 마련했고 ‘다시 뛰자 범도민추진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침체된 경제를 극복하기 위한 분위기 확산에 공헌했다.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 김신동 주무관은 의성 이웃사촌시범마을 청년농업인 스마트팜 보급,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 청년창업보육센터 운영으로 청년 인구 유입과 경북 농업 발전에 기여했다.

청년정책관실 한미애 주무관은 청년 정책 전담 부서를 신설하는 등 청년 정책에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 이철우 도지사 정책 기조에 맞춰 도지사 공약사항인 경북형 청년 인재 양성을 위한 ‘청년발전소’를 기획해 추진했다.

MVP 공무원에 대해서는 근무 성적 평정 시 가산점을 부여하고 포상금 각 500만원을 지급한다. 또 시책 추진 유공 공무원에 대해서는 각각 2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해 지속적인 성과를 장려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올 한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찾아온 절체절명의 위기에 모든 공직자들이 한뜻으로 맞서 어려운 가운데 특별한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면서 “내년에도 도민의 행복과 경북 발전을 위한 변화와 혁신적인 노력을 통해 도민과 함께 격변의 시기를 극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