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탄핵론’ 與 내부서도 “실속없다” 우려…野 맹폭

입력 2020-12-26 20:15
사진=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제기된 ‘윤석열 검찰총장 탄핵론’에 대해 당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허영 대변인은 26일 페이스북에서 “탄핵은 헌법재판소의 기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도 감정을 컨트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 대변인은 “역풍의 빌미를 제공해서는 안 된다. 법적 명분을 철저히 쌓아야 한다”며 “수사와 기소를 완전 분리합시다. 개방적으로 검사와 판사를 임용합시다. 배심원제를 강화합시다. 삼권분립을 좀 더 명확히 합시다”라고 적었다.

국회는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와 과반수 찬성으로 탄핵소추안을 의결할 수 있다. 의석수로는 민주당(174석)만으로도 정족수를 여유롭게 넘길 수 있다. 국회 의결 시 총장 직무는 정지된다.

다만 이후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을 거쳐야 한다. 최종 탄핵 결정에는 헌법재판관 7인 이상 출석에 6명(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요구된다.

이석현 전 국회부의장도 페이스북에서 “(윤 총장 탄핵은) 좋은 전략이 아니다”라며 “국회는 (탄핵 청구 의결이) 되지만, 헌법재판소는 (인용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전 부의장은 “징계위원회에서 해임도 면직도 아닌 정직 2개월을 내린 것이 탄핵 결정에는 큰 장애”라며 “헌재 심판절차가 신중하므로 그 사이 총장 임기 만료로 탄핵사유가 종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리만 크고 실속 없는 탄핵보다 검찰 수사권 분리와 의식 있는 공수처장을 뽑는 일이 지금 국회가 속히 할 일”이라고 했다.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박수현 당 홍보소통위원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여론조사를 분석해보면 국민은 검찰개혁과 윤석열 이슈를 동일시하지 않는다. 검찰개혁에는 훨씬 많은 국민이 동의하시나, 윤석열 이슈는 더 많은 국민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수사권과 기소권의 분리’를 제도화하고, 비대해진 경찰에 대한 불안도 해소해야 한다”며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백신’과 ‘민생’”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을 비롯한 야권은 윤 총장 탄핵 주장에 대해 맹공을 퍼붓고 있다.

김예령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구두 논평을 통해 “윤 총장 탄핵을 들먹이며 또다시 국민분열을 조장하는 것이 진정 검찰개혁을 위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국회 법사위원인 장제원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이성을 잃은 친문 세력들의 마지막 발악이 점입가경”이라며 “권력의 안위를 위해서는 법도 상식도 양심도 모조리 팔아먹겠다며 흥분해 있다”고 원색 비난했다.

민주당을 탈당한 금태섭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여당 의원들이 이제 와서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소위 강성지지자들로부터 점수를 좀 따보겠다는 얄팍한 술책에 다름 아니다”라며 “국민들의 마음을 얼마나 찢어 놓아야 속이 시원하시겠느냐”고 일갈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