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반토막인데 ‘5인 이상 모임금지’까지…소상공인 “지원 절실”

입력 2020-12-24 16:13 수정 2020-12-24 16:17

전국 소상공인의 지난주 매출이 올해 들어 전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은 매출이 반토막 나는 등 코로나19 1차 유행 시기의 대구·경북과 비슷한 수준까지 낮아져 3차 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를 크게 맞고 있었다.

24일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공개한 한국신용데이터의 소상공인 매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소상공인의 매출은 지난 14~20일(51주차)에 작년 같은 기간의 68% 수준이었다. 코로나19 1차 유행 시기였던 2월 말 71%를 기록했던 것보다 더 낮아졌다. 이 기간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서울은 전년 동기 매출의 57%로 2월 말 대구가 51%, 경북이 56%였던 것과 비슷했다.

지난달 24일부터 수도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적용되면서 떨어지기 시작한 매출이 지난 8일 2.5단계로 격상된 탓에 4주째 계속 하락하고 있다. 지난 1, 2차 유행 때는 거리두기 조치 이후 확산세가 누그러지고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도 더해지면서 매출이 반등했던 것과 달리 현재는 확산세가 쉽게 잡히지 않고 있어 소상공인의 우려가 크다.

<자료: 한국신용데이터>

여기에 이날부터는 ‘5인 이상 모임금지’ 조치가 전국 식당에 적용되면서 소상공인들의 타격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5인 이상 모임금지 조치가 발표된 이후 식당엔 연말모임 예약 취소 전화가 줄을 잇기도 했다. 서울 중구에서 음식점을 하는 최모(53)씨는 “몇 개 있지도 않았던 연말 예약들이 다 취소됐다”며 “사실상 영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 때문에 소상공인들은 “사실상 3단계 시행이나 다름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즉각적인 고강도의 소상공인 피해보상 대책을 수립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임대료 직접 지원, 3차 긴급재난지원금의 소상공인 우선 지급, 소상공인 긴급대출 대폭 확대, 부가세 등 각종 세제 감면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동주 의원 역시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매출 타격이 폐업으로 이어지면서 상가공실률을 급증시키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임대인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집합금지, 집합제한 조치 등 행정조치로 인한 영업제한 사업장은 임대료를 감액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이날 논평에서 “지자체를 비롯해 정부와 국회에서 피해보상 관련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건 긍정적”이라며 “소상공인들의 피해 상황이 엄중한 만큼 고강도의 소상공인 피해 보상 대책 수립과 실질적인 임대료 경감법에 대한 조속한 심의·처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