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1인 가구는 2인 이상 가구보다 교통·교육비 등 소비지출을 더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가 교통·교육비 지출을 크게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맨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24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겨울호 ‘코로나19를 전후한 1인 가구의 소비행태 변화’에 따르면 올해 1분기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129만4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11.2%(16만3000원) 줄었다. 2인 이상 가구의 소비지출액이 같은 기간 283만7000원으로 5.2%(15만6000원) 줄어든 데 비하면 1인 가구의 소비 활동이 더 많이 움츠러든 셈이다.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1.9%), 통신(0.05%)을 제외한 교통(-37.7%), 교육(-43.3%), 의류·신발(-24.6%) 등 대부분의 부문에서 지출을 줄였다. 세부적으로는 자동차 구입비가 평균 6만5000원 줄어 1년 전보다 81.3% 감소했다. 코로나19로 대면 수업이 줄면서 고등교육비도 2만5000원(-57.0%) 줄었고 식사비(-1만800원, -8.4%)와 직물 및 외의(-1만6000원, -29.1%), 여행비(-1만원, -46.0%) 등도 전년 대비 감소 폭이 컸다. 다만 보건용 마스크 등 의료용 소모품(281.5%) 지출액은 크게 늘었다.
반면 2인 이상 가구는 지난 1분기 1인 가구와 달리 식료품·비주류음료(10.2%), 보건(11.0%), 교통(7.1%) 등에서 지출액이 증가했다. 또 2인 이상 가구의 의료용 소모품(134.9%) 지출도 크게 늘었다.
그나마 코로나19 확산세가 잠시 둔화했던 2분기에는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1인 가구의 일부 소비 감소세가 줄고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소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129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7%(-7만8000원) 감소해 1분기보다 감소 폭이 줄었다. 1분기에는 감소했던 식료품·비주류음료(10.2%), 음식·숙박(4.5%) 등이 2분기에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인 이상 가구의 2분기 소비지출액은 284만6000원으로 2.9%(7만9000원) 증가했다. 1분기에는 감소였다가 2분기에 증가로 전환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