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연일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의 코로나19 백신 관련 대응을 때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정부가 얀센·화이자와 1600만명 분 백신 계약을 체결한 24일에도 비판을 이어갔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도입 시기가 내년 3분기로 예정돼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늦어 이 같은 야당의 비난 공세는 한동안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4일 비대위 회의에서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자 수가 186만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선진국과 격차가 벌어지며 백신 후진국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불안감이 국민 사이에 팽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등 다른 나라 최고 지도자는 ‘백신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우리나라는 언제 백신이 도입될 지도 확실치 않다”고 덧붙였다.
백신 도입이 늦어진 것과 관련한 정부의 발언도 도마 위에 올랐다. 문 대통령은 백신 도입을 지시했는데 밑에서 순응 못 해 확보를 못 했다는 청와대의 발표와 다른 나라부터 백신을 맞고 안전성을 판별한 뒤 도입하겠다는 정부 방침 등을 거론했다. 김 위원장은 “이미 지나간 일에 대해 이렇고 저렇고 변명할 게 아니라 앞으로 백신을 어떤 방법으로 어떤 시기에 도입할 수 있는지 정확히 국민에게 밝혀야 할 의무가 있다”고 당부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민의 불안 사항으로 백신을 얼마나 빨리 접종할 수 있는지와 그 백신이 얼마나 안전한지 여부 두 가지를 꼽았다. 그러면서 “세계 각국 지도자가 앞장서 안전성 담보를 위해 먼저 접종하는 마당에 정부가 안전성으로 변명하며 불안을 일으키고 있다”며 정부가 일으킨 불안의 책임을 언론과 야당에 돌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의사 출신인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이날 문 대통령에게 백신 확보를 직접 챙기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권이 백신 확보 문제를 놓고 국민을 속이는 행태에 분노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결심했다”고 밝힌 것처럼 백신 확보 문제에 있어 거침없는 발언을 이어갔다.
지난 9일 문 대통령이 “드디어 긴 터널의 끝이 보인다”며 내년 2~3월이면 초기 물량이 들어와 접종을 시작할 수 있다고 밝힌 데 대해 안 대표는 어느 회사와 얼마나 구매 계약이 돼 있는지 솔직히 밝히라고 요구했다. 또 문 대통령이 지난 4월부터 백신 확보를 지시했다는 청와대의 해명에 대해서도 “세상에서 제일 악한 것이 자기가 모든 결정권을 가졌는데도 가만있다 잘못되면 남 탓만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야당의 이 같은 비판 행렬도 새 변곡점을 맞이할 전망이다. 정부는 글로벌 제약사인 얀센과 화이자로부터 코로나19 백신 공급 계약 체결 소식을 이날 오전 급히 전하며 한숨 돌릴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중앙방역대책본부 회의에서 얀센 백신은 600만명 분을 계약해 내년 2분기부터, 화이자 백신은 1000만명 분을 계약하고 내년 3분기부터 들어올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접종 시기가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 비해 늦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야당의 공세가 여전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배준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정부의 백신 계약 발표 직후 구두논평에서 “코로나19 초기부터 야당의 선제적인 요구로 내년도 예산에 백신구입비가 반영됐음에도 정부는 이를 제대로 활용 못하고 있다”며 “접종시기도 이미 다른 상당수의 나라가 접종을 마무리할 시점”이라고 비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