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땅값을 정할 때 기준이 되는 표준지 공시지가가 내년에 10.37% 올라 2007년 이후 14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할 전망이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으로 꼽힌 서울 중구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의 ㎡당 공시지가는 2억원을 돌파했다. 토지 소유자들의 보유세 부담도 높아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 52만 필지의 공시지가 소유자 열림 및 의견청취 절차를 24일부터 다음 달 12일까지 20일간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국토부가 공개한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을 보면 내년 상승 폭은 10.37%로 올해 6.33%보다 4.04% 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10년간 평균치인 4.68%보다도 두 배가 넘는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42% 하락한 이후 12년 연속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올해 집값이 많이 오른 세종시의 공시지가가 12.38%로 전국 17개 광역단체 가운데 가장 많이 오른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세종의 지난달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년 전보다 39.62%나 상승했다. 서울과 주요 광역시 표준지가도 평균 이상으로 오른다. 도시별로는 서울 11.41%, 광주 11.39%, 부산 11.08%, 대전 10.48%, 대구 10.92% 각각 공시지가 상승이 예정돼 있다. 상승 폭이 비교적 낮은 인천(8.82%)도 올해(4.27%)보다 두 배 이상 오르고, 울산은 올해 1.76%에서 내년에는 7.54%로 4배 이상 상승 폭이 커진다.
내년에도 전국에서 표준지 공시지가 1등은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18년 연속 1위다.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의 올해 ㎡당 공시지가는 1억9900만원이지만, 내년에는 2억650만원으로 3.8% 오른다. 부지 전체(169.3㎡)의 공시지가는 350억원에 육박한다.
신한은행 우병탁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이 모의 계산한 것에 따르면 부지 소유주가 내년에 낼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는 올해보다 27.15% 오른 2억3149만원이 될 전망이다. 해당 부지 소유주가 다른 부동산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전제에서다. 다른 지역에서도 공시지가 상승에 따른 보유세 부담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상위 10위는 서울 중구 명동과 충무로 일대 상업지역 토지가 휩쓸었다. 토지별 구체적인 공시지가는 24일부터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에서 열람할 수 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