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전국 임도 2030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확대

입력 2020-12-23 16:56
최병암 산림청 차장이 2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제5차 전국임도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경영과 산불예방을 위해 설치되는 도로인 임도(林道)가 앞으로 임업선진국 수준까지 확대 개설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향후 10년 간의 임도시설 확대·관리 이행안을 담은 ‘제5차 전국임도기본계획(2021~2030)’을 23일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1965년 광릉임업시험림에 6.5㎞를 개설한 것을 시작으로 2020년 현재 총 2만3060㎞의 임도가 조성됐다.

산림청은 먼저 각 임지의 특성과 연간 임도 신설량 추이를 반영, 기본 임도밀도를 6.8m/㏊로 재설정하고 2030년 전국 임도밀도를 5.5m/ 수준까지 향상시키기로 했다.

현재 임업선진국인 독일의 임도밀도는 46m/㏊, 오스트리아는 45m/㏊, 일본 13m/㏊, 캐나다는 12.8m/㏊인 반면 한국의 임도밀도는 3.64m/㏊에 불과하다.

산림청은 특히 안정적인 국산 목재공급 확대를 위해 신설임도의 70%를 목재생산·숲가꾸기 등 경제림 육성단지에 집중하기로 했다. 경제림육성단지의 임도밀도 목표는 25.3m/㏊로 세웠으며, 2030년까지 2만742㎞의 임도를 신설해 임도밀도를 8.8m/㏊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 국가관리 임도제도를 도입해 법령에 명시하고, 군전술도로와 임산물운반로 등을 임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동해안 등 산불위험지에는 기존 간선 임도 외에 1000㎞의 산불예방임도를 조성한다. 올해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 지역의 임도피해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신공법을 개발해 설계에 반영토록 했다.

특히 앞으로는 임도 설계 시 레이저 펄스로 주변 모습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첨단 기술인 라이다(LiDAR)를 도입, 산지지형과 특징을 사전에 파악해 더욱 정교하게 임도망을 그릴 수 있게된다.

산림청은 이밖에 임도의 인식개선과 휴양·복지 기능 향상을 위해 산림레포츠에 적합한 임도를 조성하고, 안전시설도 설치하며 모든 국민이 임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목재생산뿐 아니라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숲가꾸기, 수종갱신 등 산림사업을 위한 기반시설을 제공할 것”이라며 “재해에 안전하고 사람과 공존할 수 있는 임도를 만들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