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3일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서둘러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해 “상당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안전성 확인을 위해 세계 최초로 백신을 접종하는 상황은 오히려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최근 우리 사회 분위기가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맞아야 하는 것처럼, 1등 경쟁을 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어 방역당국으로서 상당한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손 전략기획반장은 “백신은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 자체가 국민에게 굉장히 중요하고, 특히 코로나19 백신은 개발과정이 상당히 단축돼 안전성은 국민을 위해 놓칠 수 없는 중요한 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사정 때문에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맞는 상황은 가급적 피해야 하고, 먼저 접종하는 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한두 달 관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어 굉장히 다행스럽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현재 백신 접종을 시작한 영국, 미국 등과 우리나라의 상황이 다르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하루에 20만명 정도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고, 영국은 3만5000명 정도의 환자가 하루에 발생하고 있어서 백신 외에는 현재 채택할 수 있는 방역전략이 별로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국가들을 저희가 반면교사로 삼기에는 다소 부적절하다고 생각되고 안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고려할 때 세계에서 1, 2등으로 백신을 맞는 그런 국가가 될 이유는 없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손 반장은 “세계에서 최초로 백신 접종을 시작하는 나라들도 집단면역 형성까지 짧게는 반년, 길게는 9~10개월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예방접종을 시작하는 데 관심을 두는 것보다는 우선순위 부분, 접종과정의 안전성 확보, 유통과정, 방역관리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백신 접종 사전준비에 착수하고 있다”며 “결론적으로 한국의 경우에도 늦지 않게 예방접종을 최대한 신속하게 전개할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예방접종을 하게 된다면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부작용 여부는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검증하고 대응하는 체계를 신속히 갖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손 반장은 내년 2~3월 아스트라제네카로부터 들어오는 백신 물량에 대해 “비밀유지조항 때문에 밝힐 수 없다”고 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