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원전전용 무선통신장비 국산화 개발을 추진한다.
한수원은 22일 경북 경주 소재 중소기업인 ㈜일신이디아이와 원전전용 무선통신장비 협력연구개발 착수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개발에 돌입했다.
두 기관은 2022년 1월까지 13억원을 투입한다. 한수원은 연구비 11억원과 테스트 베드 제공, 인력 등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원전전용 무선통신장비 국산화가 완료되면 빅데이터와 AI 기반 원전 자동예측진단 및 비상시 신속 대처를 위한 비상통신 체계를 갖추게 된다.
이를 통해 원전 안전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종사자를 보호하며 수출원전 경쟁력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원전에 적용되는 모범적인 연구개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기술을 원전산업 전반에 접목한 한수원 형 스마트 플랜트 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