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안돼”…17개 시‧도 촉구

입력 2020-12-22 13:58

부산시를 비롯한 17개 시‧도가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계획 전면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시는 22일 시·도지사협의회 소속 17개 시·도지사들과 함께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저지를 위한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고 일본 정부를 규탄했다.

이들은 공동건의문에서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는 인접 국가에 치명적인 위험은 물론 지구촌 전체의 해양환경 보호와 태평양 연안 도시들의 생명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절대 강행해서는 안 될 일”이라며 해양 방류 계획의 전면 철회를 촉구했다.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는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으로 수소 폭발과 방사능 유출 사고가 발생해 일평균 160~170t의 방사성 오염수가 배출되고 있다. 오염수 저장 용량이 한계에 다다르자 일본 정부는 방사선을 정화해 바다로 흘려보내겠다는 계획을 세워 올해 10월27일 시행하려 했으나 국제사회 반발에 부딪혀 1차례 미뤄졌지만, 연내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방사능을 적정 수준으로 낮춰 방류하겠다는 입장을 줄곧 밝혀왔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거쳐도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라이튬)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다고 알려지면서 국제적인 논란이 됐다.

부산시는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저지하기 위해 울산, 경남, 전남, 제주 등 한일해협에 접해있는 시·도와 실무 대책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난달 12일 1차 실무협의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어 공동건의문을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에 안건으로 제출했다.

시도지사협의회는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와 관련한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또 국제기구를 포함한 관련 국가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안정성 검증 체계를 구성·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산물을 포함한 일본산 식품의 수입에 있어 방사능 검역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는 시민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지자체 간 힘을 합쳐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공동건의문(원문)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 저지를 위한
대한민국 시‧도지사 공동건의문

최근 일본 정부에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가 연내 결정될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는 인접 국가에 치명적인 위험은 물론 지구촌 전체의 해양환경 보호와 태평양 연안도시들의 생명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절대 강행해서는 안 될 일이다.

일본과 한·일 해협으로 접해있는 부산, 울산, 경남, 전남, 제주 등의 시·도들은 대한민국 정부가 국민의 생명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 정부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저지할 것을 요청하며 공동 대응하고 있다.

이에 우리 대한민국 시도지사는「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 저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공동 대응해 나갈 것을 다짐하면서, 정부에 다음과 같이 건의한다.

첫째,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논의의 즉각 중단을 촉구하고, 이와 관련한 정보를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둘째, 국제기구를 포함한 관련국가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안전성 검증체계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수산물을 포함한 일본산 식품의 수입에 있어 방사능 검역을 더욱 강화하여야 한다.

-서정협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 -변성완 부산광역시장 권한대행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박남춘 인천광역시장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허태정 대전광역시장 -송철호 울산광역시장 -이춘희 세종특별자치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최문순 강원도지사 -이시종 충청북도지사 -양승조 충청남도지사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김경수 경상남도지사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