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코로나19 대응으로 국경 봉쇄를 선택했으나 그 기간이 길어지자 기본 의료 체계가 무너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항생제와 항균제 수급이 중단되면서 중증환자들의 수술이나 치료마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일본 매체 아시아프레스 이시마루 지로 대표는 21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이달 초부터 중순까지 북한 접경지역의 약품 부족 현상을 조사했다”며 “병원, 약국 등도 중국에서 온 의약품이 고갈돼 구매도 어렵고 병원에서도 치료를 못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목시실린, 메트로니다졸 등 항생제와 항균제가 유입되지 못하며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며 “심지어 병원에서도 이 같은 약품을 찾기가 힘들고, 과거 병원 의사들이 병원에서 빼돌려 장마당 상인에 불법 유통하던 물량도 지금은 거의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의약품 공장에서도 일부 진통제와 항생제가 생산되고 있지만 가짜 약이 워낙 많아 주민들이 구매를 꺼리고 있다”며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한 감기약, 파스조차도 북한에서 사라졌다”고 했다. 또 “병원에 가도 치료를 받지 못하고 민간요법 처방을 권유받는 데 그치고 있다”며 “최근에는 침술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결핵약이 고갈되고 항생제·항균제도 떨어져 결핵이나 유사 중증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생명을 잃고 있다”며 “북한에서 흔한 질병인 결핵의 경우 기침이나 발열 등 코로나19와 증세가 비슷해 당국의 엄격한 자택 격리 방침을 따라야 한다”고 전했다.
현재 북한은 외국의 약품 지원마저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국제 인권단체들은 “인도적 지원 물품이 중국 단둥 등에서 북한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있다”며 유엔에 지원 물품의 대북제재 면제 기간을 연장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