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에서도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사퇴 요구가 처음으로 나왔다. 이정미 전 정의당 대표가 페이스북에 공개적으로 입장을 밝혔는데, 당 지도부는 아직 변 후보자의 사퇴 여부에 대한 입장을 정하지는 못했다. 노동계에서조차 사퇴 요구가 나오면서 당 지도부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이 전 대표는 21일 페이스북을 통해 막말 논란에 휩싸인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지명철회와 사퇴 요구가 답”이라고 주장했다. 정의당 내에서 변 후보자의 지명 철회를 요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전 대표는 “진보정책을 한보따리씩 꺼내놓고도 현실론을 앞세워 후퇴시킨 경험을 한두 번 겪었던가”라며 “변 후보자가 부동산정책에 관해 아무리 진보적 정책을 제시했다 하더라도, 결국 장관 자리에서 부동산 기득권과 맞설 수 있겠는가는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이미 평가가 됐다고 본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전 대표는 또 “정부가 후보자를 일단 청문회에 올린다는 것은 과거의 잘잘못은 무조건 방어하겠다는 뜻”이라며 “그때부터 정책검증이냐, 사생활 털기냐와 같은 정치적 공방만 난무하게 된다. 결국 이 정부가 변 후보자를 밀고 가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 정의당은 중대재해기업처벌법에 거의 올인하고 있다. 우리가 추진하려는 이 절박한 요구에 완전히 역행하는 인식을 그대로 보여준 후보자를 인정할 수 있겠느냐”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오늘 박성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도 변 후보자가 유족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언급했지만, 사과하고 없던 일로 끝날 문제는 아니라서 (지명철회) 의견을 냈다”며 “정의당이 좀 더 적극적으로 변 후보자에 대해 입장을 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변 후보자 낙마 여부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정하지 않은 당 지도부를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 지도부는 아직 변 후보자를 부적격으로 판단해 ‘데스노트’에 올릴지 결정하지 못했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요구하며 11일째 단식농성을 이어온 정의당이 구의역 사고를 “아무것도 아닌 일”로 치부한 변 후보자 막말을 그냥 넘어가기는 어렵다. 그러나 변 후보자의 주거 정책 기조에는 동의하는 측면이 커 지도부도 섣불리 입장을 정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김종철 정의당 대표는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심상정 국토위원이 청문회에 들어가니 청문회 과정을 좀 더 지켜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의당의 유일한 국토위원인 심상정 의원은 아직 공개적으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당내에서는 변 후보자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응호 정의당 부대표는 이날 대표단회의에서 변 후보자의 구의역 사고 관련 발언을 인용한 뒤 “망언이다. 청년 노동자의 죽음을 왜곡한 것에 대해 사죄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현우 기자 bas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