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정부의 내년 R&D(연구·개발) 예산은 27조 4000억으로 역대 최대 규모”라며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투입돼 코로나 극복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백신 확보 경쟁에서 주요 선진국보다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와중에 국산 백신 개발 역량을 강조한 것이다. 다만 미국 영국 등에서 접종을 시작한 화이자, 모더나 등 백신 확보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코로나 확산을 막는 데 바이오와 디지털 기술이 큰 역할을 했고 K-방역이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지금 이 시간에도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최선을 다해 주고 계신 과학·기술인들을 국민과 함께 응원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내년은 우리 과학기술계에 매우 뜻깊은 해가 될 것”이라며 “정부와 민간을 합쳐 R&D 100조 시대를 열게 된다. 규모 면에서 세계에서 다섯 번째이고, GDP 대비 투자 비중으로는 세계 1, 2위를 다투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감염병과 온실가스,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국민의 안전·보건과 지구적 과제의 해결에 이르기까지 과학기술의 역할이 더욱 커진다면, 우리는 세계를 선도하는 혁신 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과학기술이 경제와 안보의 힘이 되는 시대다. 우리는 과학기술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제품을 넘어 기술을 수출하는 강국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민간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 국민의 삶과 밀접한 분야에 관한 기술 발전,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개발의 전략을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탄소중립과 관련해 “2050년까지 남은 30년은 결코 긴 시간이 아니다”며 “탄소중립의 로드맵을 과학기술이 뒷받침해야 한다. 핵심 기술의 개발과 함께 탄소중립의 로드맵을 만들고 발전시켜가는 일에도 지혜를 모아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