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20년 노후산단 혁신공간 재탄생

입력 2020-12-21 15:21 수정 2020-12-21 15:23

경남도가 준공된 지 20년 이상 지난 노후 산업단지에 대해 ‘산단재생과 산업구조의 변화’을 통해 경쟁력 강화사업을 적극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도는 국토부가 추진하는 ‘재생사업(기반시설정비)’과 산업부가 추진하는 ‘구조고도화사업(기업·근로자 환경개선사업)’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현재 도내 20년 이상 노후산단은 국가산단 6개소와 일반산단 8개소다.

산단 주요사업은 ‘ ‘창원국가산단’은 봉암교 확장, 노후교량 보수, 공영주차장 설치 등으로 590억 원을’, ‘‘진주상평산단’은 병목구간 도로확장 및 가각정비 등 466억 원을’ ‘‘양산일반산단’은 양산2교 가설, 공원 및 주차장 확보 등에 484억 원을 투입 한다.

도는 내년도 재생사업으로 국비 128억을 포함해 총 256억 투입해 그동안 부진했던 노후산단 사업이 속도를 내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도는 지난 10월부터 11월말까지 기업과 근로자, 지자체, 관리공단 등을 대상으로 대면·비대면 방식으로 간담회를 통해, 기업과 근로자의 70% 이상이 일과 삶의 균형(워라벨), 다양한 취미활동 등을 할 수 있는 문화·복지·창업 등을 위한 혁신 공간(복합적인 문화시설) 건립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또 산업단지 입주규제 완화정책 도입으로 신산업 기업유치 활동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정부가 지난 8월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일부 개정해 지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산업시설 구역 내 사행행위영업 등 제한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 입주허용구역(특례지구) 지정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에 지금까지 서비스업으로 분류되어 산업단지 내 산업시설구역에 입주가 불가했던 ‘전자상거래업’ ‘자동차 튜닝관련 서비스업’ ‘드론 관련업 등의 관련업종이 입주가 가능해졌다.

또 도는 노후산단 우휴부지에 민간투자사업등 을 적극적으로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현재 재생사업 지구지정 된 ‘창원국가산단’ ‘진주상평산단’과 ‘사천일반산단 등 가동 중단 또는 휴·폐업된 유휴부지에 복합용지로 개발 가능하도록 해, 민간투자을 적극유치 한다는 계획이다.

‘복합용지’는 산업시설용지에 50%이상은 산업용지, 그 외 나머지는 주거나 상업시설 도입 등이 가능한 용지다.

도는 기존의 공장을 위한 산업시설용지를 변환해 공장뿐만 아니라 주거·상업시설 등을 유치해 민간투자를 활성화시키고 입주기업과 노동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도 세우고 있다. 특히 내년도 정부합동공모사업인 ‘산업단지 대개조’에 경남도가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김영삼 도 산업혁신국장은 “경남도는 기존의 중앙부처 중심의 산단 정책을 따라가는 것이 아닌 도내 입주기업과 노동자 및 도민들의 현장목소리를 듣고 이를 반영한 산단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