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동 킥보드 주행도로 조성 등 활성화 나서

입력 2020-12-21 13:11
전동 킥보드. 연합뉴스

경기도가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PM)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 주행도로를 마련하고 전용 주차장 등 조성에 나선다.

박태환 경기도 교통국장은 21일 오전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안전하고 편리한 개인형 이동장치(PM) 이용환경 조성을 위한 경기도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박 국장은 이날 “최근 교통혼잡·대기오염 등을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며 “만13세 이상이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고, 자전거도로를 주행할 수 있게 되는 등 제도변화로 이에 걸맞은 안전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경기도는 그간 전문가 의견 수렴, 연구용역, 시군과의 소통 등을 통해 마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대책을 추진해 도민의 안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이용 편의를 강화하고자 한다”고 이번 전략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편의·안전 고려한 개인형 이동장치 주행도로 조성 ▲활성화 시범지구 선정 및 전용 주차장 조성 ▲주차장 표준디자인 및 실시설계 가이드라인 제작·보급 ▲안전 이용문화 확산 등 네 가지 주요 방향을 설정해 다양한 사업과 정책을 추진한다.

3기 신도시 등 새로 건설되는 신도시의 경우 개인형 이동장치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지·간선 주행도로를 만든다. 도로를 공유하는 개인형 이동장치와 자전거 간 충돌을 예방하고자 도로 폭원을 편도 2m(양방향 4m) 이상 확대하고, 연석·수목 등으로 보행로와의 분리를 꾀해 불법주정차·무단보행 등에 따른 사고 위험을 줄일 방침이다.

이미 도로망이 구축된 기존 도시들의 경우 차로 수나 폭을 줄여 개인형 이동장치와 자전거도로로 활용하는 ‘도로 다이어트’ 방식을 도입한다.
'도로 다이어트 방식' 경기도 제공

또한 횡단보도와 나란히 개인형 이동장치용 횡단로를 설치해 안전하고 단절 없는 주행환경을 만들고 보행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한다. 교차로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횡단 경로를 고려해 설계하고, 교통표지나 반사경 등을 활용해 안전하게 횡단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 계획이다.

도는 내년부터 시군을 대상으로 ‘개인형 이동장치 활성화 시범지구 공모사업’을 추진하는 등 이용 활성화와 안전주행환경에 대한 모범사례를 만들어 전국에 확산하는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파급효과, 지자체 역량, 실현 가능성이 큰 신도시, 대학교 권역 중 2곳을 시범지구로 선정해 주행로 시설개선, 안전교육 및 안전캠페인 등에 필요한 사업비 1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개인형 이동장치 전용주차장’ 조성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공모를 통해 부스형 주차장 10곳, 거치대형 주차장 1200곳 등 총 1210곳의 전용 주차장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장의 표준 디자인 및 실시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시군에 보급하기로 했다. 가이드라인은 기기별 특징 및 활용도 등을 고려해 거치대형, 부스형, 캐비넷형, 노면표시형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눠 시군별로 지역적 특성과 수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장임을 충분히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표지와 픽토그램도 만들어 보급한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교통연수원 내에 ‘개인형 이동장치 체험교육장’을 설치해 중·고교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용안전 체험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중·고등학교 순회 방문교육, 도민 온라인 교육, SNS나 지버스티브이(GbusTV)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캠페인 등을 병행함으로써 이용자 스스로 안전 요령을 숙지하도록 유도한다.

특히 지난 10일부터 만13세 이상이면 누구나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규정이 완화된 것과 관련한 안전대책들도 함께 추진한다. 도-시군-개인형 이동장치 공유업체 간 업무협력을 통해 ‘안전 협의체’를 구성하고, 통행 제한 구간 지정 및 무단방치 시 견인 등의 내용을 담은 조례를 제정하는 데도 힘쓴다.

박태환 교통국장은 “안전하고 편리한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환경을 만들어 자동차 중심의 교통에서 사람중심의 친환경 녹색교통으로 전환하는 계기로 삼겠다”며 “향후보다 나은 이용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도민, 전문가, 시군 등과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