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글로벌 백신 확보 경쟁에서 뒤처진 이유에 대해 “다른 나라에 비해 확진자가 적어 백신 의존도를 높일 생각을 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20일 KBS ‘일요진단’에 나와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도입 논의를 시작할 당시 확진자 수가 적었기 때문에 백신에 크게 의존할 것이라 생각지 못했다”고 말했다.
“우리는 (당시 확진자가 많이 나왔던) 나라들이 백신을 사용하는 걸 봐가면서 쓰자는 생각도 있었다”고 한 정 총리는 “우리는 철저한 방역, 치료제를 통한 환자 최소화, 그다음에 백신 사용을 통해 코로나19 상황으로부터 가장 빨리 벗어나는 전략을 세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 총리는 “미국이나 영국, 캐나다 등 환자가 많이 발생한 나라들은 다국적 제약사들에 미리 백신 개발비를 댔다”며 “우리는 지금 구매 계약을 하면서 선금을 주는데 (이런 나라들은) 개발할 때 돈을 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역과 치료제 개발 후 백신 도입이라고 판단했으며 백신 개발 제약사들이 개발비를 낸 나라와 아닌 나라에 백신 공급량의 차이를 둘 수밖에 없어 백신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게 정 총리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정 총리는 ‘화이자·얀센·모더나 등의 백신을 1분기에 접종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해당 업체들과 계약이 임박했으나 1분기 공급 약속을 받은 것은 없다”고 답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일 4400만명분의 코로나 해외 백신을 확보했다고 발표했지만 구매 계약이 완료된 것은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1000만명분뿐이다. 그나마도 도입 시점조차 계약서에 명기하지 않았다. 화이자 등 제약사 3곳과는 언제 계약이 완료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정 총리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해 “이르면 2월, 늦어도 3월에는 접종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다만 “백신 공급 계약은 분기 단위로 이뤄지고 현재 한국은 1분기부터 공급을 받도록 약속돼 있다”며 “정부로서는 2월부터 접종하고 싶지만 1분기 중 언제 공급될지는 약속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정 총리의 이같은 발언에 전문가들은 정부의 오판이라고 지적했다. 접종은 신중하게 하되 확보는 확실히 했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지적이다. 김근식 국민의힘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도 “K방역이 K후진국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30개국이 접종하고 있는 화이자, 모더나는 빨라야 내년 후반이나 돼야 우리는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내년 초 접종한다는 아스트라제네카는 FDA 승인 없이 우리나라 자체 승인으로 강행한다는 건데 불안감에도 백신주권 강조하며 국뽕 접종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다른 나라 접종 소식 들으면서 국민은 분통이 터진다”고 한 김 위원장은 “도대체 어쩌다 대한민국이 이처럼 형편없는 백신 후진국이 돼버렸냐. 다른 나라는 집단면역 성공하고 자유여행하고 경제 회복되는데 우리나라만 입국 제한되고 자영업은 줄도산하고 경제 엉망이 지속된다. 이게 나라인가. 무능의 극치”라고 꼬집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