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환자 병상 확보를 위해 65세 이상 고령자나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라도 병원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면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을 변경했다. 또 산소치료가 필요 없는 59세 이하의 무증상 또는 경증 환자는 생활치료센터로 전원하도록 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20일 코로나19 브리핑을 통해 “생활치료센터의 입소 기준을 합리화하여 병원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건강한 고령자는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할 수 있도록 12월 18일 입소 기준을 개선하였다”고 밝혔다.
우선 고령층이라도 만성 기저질환이 없고, 혈중 산소포화도가 90% 미만으로 산소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65세 이상이거나 만성 기저질환자의 경우 ‘고위험군’으로 분류돼 증세의 중증도와 관계 없이 생활치료센터 입소 대상에서 제외됐다.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의료기관 입원을 우선으로 하되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도록 하고, 입소 후에는 모니터링을 철저히 해서 증세가 악화하면 곧바로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전원하도록 조치했다.
또 감염병 전담병원에 입원한 환자 가운데 증상이 호전돼 산소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59세 이하 무증상·경증 환자도 생활치료센터로 옮기도록 했다. 전원을 거부하는 경우 치료 시 본인부담금과 필수비급여 비용을 환자가 부담해야 한다.
박 1차장은 “한정된 의료자원을 필요한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조치인만큼 환자분들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 18일 국립대병원 17곳과 민간 상급종합병원 42곳에 허가 병상의 1%(454개) 이상을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병상으로 확보하라는 명령을 공문으로 전달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립대병원에 81개 병상, 상급종합병원에 237개 병상 등 총 318개 이상의 병상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 1차장은 “전반적인 병상 여유는 점차 확대되는 중”이라며 “어제 기준 생활치료센터의 가동률은 전국 46%, 수도권 44% 수준이고 감염병전담병원은 전국 68%, 수도권 78%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도권을 기준으로 하면 중등증 이하 환자는 생활치료센터 4900여 명, 전담병상 560여 명 등 약 5500여 명의 수용여력이 남아 있다”며 “병상의 배정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대기환자가 최소화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