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얀센-화이자 백신 연내 계약 목표…모더나는 내년 1월”

입력 2020-12-18 11:21

정부가 이달 안에 존슨앤존슨-얀센과 화이자와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위한 계약을 추진키로 했다. 모더나 백신 계약은 내년 1월체결을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영국과 미국 등 세계 30여개국에서 이달 중 백신 접종이 이뤄지는데 비해 한국은 백신 도입 계약조차 완료하지 못한 상황이라 정부가 백신 도입에 지나치게 안일한 태도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8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이같은 백신 확보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해외에서 도입하기로 한 총 4400만명분(코백스 1000만명분+개별기업 3400만명분)의 코로나 백신 가운데 코백스 1000만명분의 신속한 도입을 위해 협상 중”이라며 “내년 1월 중 구체적인 물량과 제공 시기 등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백신 공급 계약과 관련한 협상 경과를 공개했다. 우선 정부는 백신 공동구매를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로부터 도입하기로 한 1000만명 분은 현재 신속 도입을 협상 중이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내년 1월 중 구체적인 물량과 제공 시기 등을 제시할 예정이고, 내년 1분기 내 도입 가능성 및 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코백스 퍼실리티와는 구매약정을 맺고 지난 10월 9일 선급금 850억원을 지급했다.

개별 기업 중에는 아스트라제네카와 구매 계약서 체결을 완료했다. 얀센·화이자는 12월, 모더나는 1월을 목표로 계약 체결을 추진 중이라는 설명이다. 중대본 측은 “내년 2~3월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도입할 것이며 짧은 유효기간 등을 고려해 접종 계획과 연동해 개별 기업에 단계별 공급물량을 요구해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계획은 열흘 전 발표 때보다 계약 시점이 더 미뤄진 것이다. 정부는 당초 모더나와 12월 안에 계약할 예정이라고 했는데 내년 1월 중 계약으로 한 달 정도 더 늦춰졌다. 정부는 내년 2~3월 도입을 목표로 한다지만, 계약 일정이 미뤄지는 만큼 도입 시기도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부가 실제로 확보한 백신도 여전히 아스트라제네카 하나뿐이라 공급 계획의 실효성도 떨어진다는 지적도 일부에서 나온다.

백신 확보 물량도 적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부는 인구의 60% 수준인 3000만 명분보다 확대한 44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EU의 경우 인구 4억5000만명분을 모두 소화하고도 남는 10억6000만 회분을 확보한 상황이다. 반면 한국 정부가 현재 확실히 계약을 완료한 물량은 1000만명 분에 그친다.

정부는 백신 도입 구매 약관 체결 등에 따른 세부 조건 계약 등 후속 조치를 진행하고 도입 백신 허가심사를 신속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질병관리청에 ‘(가칭)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을 만들어 이달 중 백신접종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접종기관 및 접종인력 확보·대국민 홍보·접종요원 교육 등 준비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