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이 ‘2개월 정직’ 징계 처분에 대한 소송을 이어나가겠다며 불복 의지를 드러내자 더불어민주당이 자진사퇴를 거듭 압박했다. 반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사의 표명을 두고는 훌륭한 선택이라며 추켜세웠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17일 정책조정회의에서 “검찰 개혁을 강력히 추진해 주셨는데 (추 장관의) 결단에 경의를 표한다”며 “검찰도 새롭게 출발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홍익표 의원도 17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추 장관은) 굉장히 정치적으로 잘한 결정을 했다. 여당 대표를 지내신 정치인다운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윤 총장을 향해서는 “본인이 그렇게 사랑하는 검찰 조직을 위해서라도 결단을 할 때는 결단해야 한다”며 “지금까지 윤 총장을 좋아하신 분들도 많이 있었는데 이후에 그런 식의 (징계 불복) 모습을 보이는 것은 도리어 찌질해 보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안민석 의원 역시 BBS 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에 나와 “윤 총장이 스스로 거취를 정할 것 같지 않고 문재인 대통령과 한판 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 같다”며 “검찰 개혁을 바라는 국민과 대통령을 이길 수는 없을 것이다. 윤 총장은 결국 자멸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전날 오후 6시30분 윤 총장에 대한 ‘2개월 정직’ 징계안을 재가했고 동시에 징계 효력이 발생했다. 추 장관은 해당 징계안을 제청한 자리에서 취임 약 1년 만에 사의를 표명했다. 문 대통령이 “거취 결단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 숙고해 수용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장관 교체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추 장관과 윤 총장 사이의 극한 충돌도 일단 한고비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윤 총장 측은 추 장관의 사의 표명과 무관하게 징계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과 처분취소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로써 일각에서는 징계안을 재가한 문 대통령과 윤 총장이 맞서는 모습이 연출될 수도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