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차량이 자율주행으로 주차를 마무리하는 서비스가 등장했다. 초고속·초저지연 5G 네트워크 기술과 사용자 라이프스타일 데이터를 가진 이동통신사가 자율주행 기술을 ‘생활 밀착형’ 서비스로 진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LG유플러스는 17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5G 이동통신 기반의 자율주차 기술을 실시간 공개 시연했다. 5G 자율주차는 자동차가 스스로 인근 주차장을 찾아가 빈자리에 주차하는 일종의 ‘자율 발렛파킹(대리주차)’ 개념이다. 통제되지 않은 도로와 공영 주차장에서 5G 자율 주행과 주차 기술을 연계해 선보인 것은 세계 최초라고 LG유플러스는 강조했다. 기술 개발 및 시연은 한양대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ACELAB’, 자율주행 솔루션기업 ‘컨트롤웍스’와 함께 했다.
시연에 사용된 5G 자율주행차 ‘A1(에이원·현대자동차 GV80)’에는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솔루션, 5G 클라우드 관제 서비스 플랫폼이 탑재됐다. 모바일 앱 서비스를 연계해 운전자가 차량 조작·위치 파악을 손쉽게 하도록 했다.
이날 공개 시연은 서울 마포구 상암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에서 진행됐다. A1은 ‘YTN뉴스퀘어’ 건물에서부터 상암1공영주차장까지 약 800m 거리를 5분간 이동한 후 빈 주차공간에 자리를 잡고 스스로 시동을 껐다.
주차장에 설치된 CCTV가 빈자리 현황을 파악하면 5G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으로 데이터가 취합되고, 이후 앱으로 탑승자에 전달되는 시스템이 도입됐다. 운전자는 앱을 통해 주변 주차장의 빈자리 정보를 확인하고, 차량을 해당 위치로 보낼 수 있다. 차량의 현재 위치를 앱 지도상에서 실시간으로 보여주기도 했다. 주차가 마무리되면 주차 완료 알림이 온다.
이번 시연은 지난해 10월 LG유플러스가 차량의 무인 원격호출 기술을 선보인 이후 약 1년 만이다. LG유플러스는 “차량이 스스로 오고, 사람이 승차하면 자율주행을 하고, 혼자 주차를 하는 이른바 미래 무인차 시대의 근간이 완성됐다”고 의미부여했다.
선우명호 한양대 교수는 “5G 자율주차는 자율주행의 ‘넥스트 스텝’으로, 이번 기술을 통해 주차 과정의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며 “향후 장애인·고령자·임산부 등 교통 약자들을 위한 서비스로도 큰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선우 교수는 자율주차 확산을 위해 공영주차장에 데이터 수집용 CCTV를 추가 설치하는 등의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시연은 실증 가능한 기술적 요소를 위주로 진행됐다. 차량이 이동하는 도중 해당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를 하는 등의 다양한 주차 시나리오는 시스템 고도화를 거쳐 향후 추가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이날 시연을 위해 5G 자율주행차 A1이 그동안 137회의 비공개 실증을 거쳤다고 밝혔다.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자율주차 시연도 이르면 다음 달 중순 진행될 예정이다. LG유플러스 모빌리티사업담당 강종오 상무는 “5G 자율주행을 위한 인프라 설계과 네트워크 구축 등 통신사업자의 역할에 충실한 동시에 자율주행 기업과 협력하면서 퍼즐을 맞추듯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찾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