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부정 막는다…부산시·시내버스조합 준공영제 개정

입력 2020-12-16 14:45

부산시와 버스운송사업자간 버스운송 수입금 관리 및 인사 등 정보 관리가 투명해진다.

부산시는 16일 부산시청 1층 로비에서 버스운송사업조합과 ‘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지난해 7월 부산형 시내버스 준공영제 혁신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이를 이행하기 위해 공공성과 투명성, 효율성, 서비스 질 향상을 대폭 강화하는 혁신안을 마련했다.

개정 협약에 따라 시·버스조합·운송사업자는 회계를 공유하는 ‘e-버스 재정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함으로써 재정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기로 했다. 중대 비리 업체에 공익이사를 파견하고, 사업자의 부정행위가 발생한 버스회사는 준공영제에서 제외하는 등 시내버스 운송사업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조건을 걸었다.

전국 최초로 구축된 ‘e-버스 재정정보관리시스템’은 재정지원금과 운송수입금 등 모든 수입과 지출에 관한 정보를 시와 조합, 운송사업자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내년 1월 1일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으로, 블록체인에 기반한 시스템이어서 위·변조가 불가능해 회계의 투명성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앞으로 준공영제 운영지침과 운영조례를 조속히 개정·시행하여 혁신적인 부산형 준공영제를 완성하고, 지속 가능한 준공영제 운용을 위한 실질적 토대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올해 마무리된 시내버스 노선 개편 용역 결과에 따라 4단계로 나눠 단계별로 개편도 추진한다. 용역 결과에 따르면 총 144개 노선 중 82개(폐지 5, 단축 34, 변경 20, 연장 18, 신설5) 노선에서 개편이 필요하다.

노선 개편은 교통 소외지역과 시민 편의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1단계 23개 노선을 대상으로 우선 추진한다. 시는 주민 의견 수렴과 유관기관 협의를 거친 후 올 연말까지 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다. 개편이 완료되면 970억원(5년간, 잉여 차량의 예비차량 전환)의 재정 절감도 이루어질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시는 또 타시도와 비교해 과다하게 높은 임원 인건비 원가를 하향 조정하고, 운송과 관련 없는 회계 항목을 조정함으로써 연간 68억원의 절감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