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간 주택 12만호 공급…대전시 주거불안 해소되나

입력 2020-12-16 13:32

대전시가 시민의 주거 불안 해소와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2030년까지 총 12만호의 주택을 공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지역 내 주택공급 강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지역업체의 원도급·하도급 수주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된다.

대전은 지난 10월 기준 총 64만8569호의 주택이 공급된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61만1911호 대비 3만6658호(5.97%)가 증가했지만, 추정 가구수가 증가하며 보급률은 소폭 증가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주택공급 계획에 따르면 시는 2023년까지 63개 단지에 5만6334호, 2030년 까지 총 12만호의 주택을 공급키로 했다.

앞으로 3년 간의 연도별 공급 세대 수는 내년 2만8175세대, 2022년 1만5756세대, 2023년에 1만2403세대다. 공급유형은 분양 4만6468세대, 임대 9866세대이며 공공은 1만625세대, 민간은 4만5709세대에 달한다.

올해 분양된 10개 단지 6925세대보다 4배 이상 많은 세대가 내년부터 공급되면, 주택가격이 안정되며 시민들의 주거불안이 다소 해소될 것으로 시는 내다보고 있다.

특히 2023년 까지 63곳 5만6334호의 주택이 공급될 경우 공공·민간에서 약 15조300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지역업체 하도급 액수만 약 9조9500억원에 달해 지역 경기부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15조3000억원은 주택분야 공사비에 해당된다. 이 금액이 투입될 경우 토지 보상·이주비 지급 등을 통해 유동성 및 소비 활동이 증가하고, 공사장 주변 상점의 매출 증가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

또 아파트가 건립되며 도로·공원·교통안전시설 등의 기반시설이 확충되고, 공사현장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실제 지역경제에 미치는 투자 효과는 약 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시는 이밖에 고분양가 방지·외지인 투기세력 차단을 위해 분양가 심사, 대전시 거주자 우선공급, ‘드림타운 3000호’ 공급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하도급을 비롯해 설계·분양 등 시행사가 발주하는 각종 용역과 공사에 대전지역 업체가 참여토록 지원할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주택공급 확대로 주택가격 안정, 시민들의 주거 불안 해소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며 “주택개발 사업에 투자되는 민간 및 공공의 자금을 지역에 환원시켜 시민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실제로 체감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