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식 해상풍력사업 이번에는 연안 어민들 사업중단 요구

입력 2020-12-16 13:10
울산시 추진 중인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에 따른 보상을 받지 못한 인근 연안 어민들이 사업중단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울산해역에서 연안조업 위주의 어민으로 구성된 부유식 해상풍력 반대 추진위원회는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GIG를 비롯한 5개 컨소시엄이 추진 중인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과 사업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풍향 계측기, 라이더 운영을 중단하라”고 16일 밝혔다.

이들은 “울산시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추진하면서 어업인들의 의견은 무시하고 풍향 측정을 위해 풍향계측기(라이다)를 설치하는 등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어민들의 반발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과 관련해 적잖은 변수 중 하나다.

시는 지난해 10월 동해가스전 부근에서 조업해온 대형어선을 중심으로 어민대책위원회를 출범시켜 사실상 어민들의 동의를 얻었었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업체 5곳 컨소시엄은 올해 4~10월까지 라이더 14기를 설치하며 1기당 5억원씩 총 70억원을 지급했다. 대책위들은 그간 투쟁 경비와 세금 등을 제하고 단체별로 약 4억 5000만원씩을 받아갔다.

이날 반발하고 있는 어민들은 주로 연안에서 조업해온 소형어선 어민들이다. 이들은 상생 기금이 주먹구구씩으로 지급된 것에 대해 불만을 터뜨리고 있는 것이다.

울산시와 일부 컨소시엄 관계자는 “사업이 본격화할 경우 수산업법에 따라 근해뿐 아니라 연안 어민에 대해서도 피해보상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에 따라 울산에서 58㎞가량 떨어져 있는 동해가스 전 인근 바다에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해상풍력 업체 5곳이 참여해 2025년까지 약 6조원을 투입, 원자력 발전소 1개 규모와 맞먹는 발전량 1GW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2030년에는 6GW 이상의 전기량 생산이 가능한 발전 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약 21만명의 고용효과와 연간 698만2000t의 이산화탄소 감소 효과가 예상된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