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지 않은 길…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 시간표 나왔다

입력 2020-12-16 11:21 수정 2020-12-16 13:24
김태일 공론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이 16일 대구시청에서 온라인 시·도민 열린 토론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경북 행정통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여정이 시작됐다. 대구·경북 시·도민이 골고루 참여하는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시·도민이 바라는 행정통합 모습을 찾는 것이 대구시와 경북도의 목표다.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원회)는 16일 대구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론화위원회 전체 사업계획 로드맵’과 ‘온라인 시·도민 열린 토론회’에 대한 세부 계획 등을 발표했다.

코로나19 상황 때문에 비대면으로 치러지는 시·도민 열린 토론회 오는 19일 1차, 내년 1월 9일과 30일 각각 2, 3차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는 행정통합의 필요성과 세부사항별 쟁점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1차는 행정통합의 필요성과 미래상, 2차는 행정통합 기본계획과 쟁점, 3차는 극복 과제와 방안이 토론 주제다.

참가자는 정규참가자와 비정규참가자로 구분한다. 정규참가자는 대구·경북 31개 시·군·구에서 모집한 시·도민 360명이며 영상회의 온라인 플랫폼(ZOOM)을 통해 양방향 영상회의에 참석하게 된다. 비정규참가자는 행정통합에 관심이 있는 대구·경북 시·도민이 대상이며 유튜브를 통한 생방송 시청 및 전화질문 등으로 참여 할 수 있다.

내년 1월 말까지 3차에 걸친 온라인 시·도민 열린 토론회를 개최한 후 토론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해 공론화연구단이 ‘대구경북행정통합 기본계획(안)’을 만들 예정이다.

내년 2월 1·2차 시도민 여론조사와 함께 시·도민이 직접 참가하는 타운홀 미팅(지역 주민들을 초대해 정책 등 이슈에 대해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공개 회의) 방식의 ‘대구경북 행정통합 대 토론회’를 개최해 대구경북행정통합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한다. 결과는 2월 말 대구·경북 시·도지사에게 제출한다. 내년 4월에는 투표 전 마지막으로 숙의 공론 조사를 실시한다. 투표는 내년 6~7월에 실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태일 공론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은 “토론회는 시도민의 의견을 행정통합기본계획에 반영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시도민이 직접 만들어가는 상향식의 행정통합이 추진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공론화위원회는 시·도민의 이해와 논의를 바탕으로 한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를 위해 지난 9월 출범한 민간차원 기구다. 운영위원회와 기획·소통 분과, 공론화연구단, 지원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학계, 경제계, 시민단체, 시·도의원 등 지역을 대표하는 30명의 위원이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