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4일(현지시간) 선거인단 투표에서 압승을 거둔 가운데 공화당 주류에서도 그를 대통령 당선인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날 AP통신에 따르면 존 튠 원내총무는 “어느 시점에서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오늘 선거인단이 사안을 마무리했으니 모두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튠 원내총무는 공화당 내에서 ‘상원 2인자’로 통하는 인물이다.
존 코닌 상원의원도 “이런 게 선거의 속성이다. 승자가 나와야 하며 패자가 나와야 한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소송전이 끝나면 조 바이든이 미국 대통령이 되는 길에 설 것”이라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부정선거 주장과 소송전이 이어지며 공화당 의원들은 지금까지 바이든을 당선인으로 인정하는 데 난색을 표해왔다. 일부 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에 근거가 없다며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입장을 표했지만 상당수 의원들은 침묵으로 일관하거나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불복 기조에 동조하는 길을 택했다.
그러나 통신은 이날 선거인단 투표 결과마저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로 확정되며 공화당 주류가 바이든 당선인을 인정하고 트럼프 대통령과의 선긋기에 나서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바이든 당선인은 이날 미국 50개 주와 워싱턴DC에서 실시된 선거인단 투표에서 승리에 필요한 ‘매직넘버’ 270명을 넘긴 306명을 확보해 대선 승리에 쐐기를 박았다. 이에 따라 로이 블런트 미 의회 합동취임식준비위원회(JCCIC) 위원장은 “이제부터 바이든 부통령을 대통령 당선인으로 공식 대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공화당 주류 의원들 사이에서 트럼프에 등을 돌리는 기류가 형성되고는 있지만 일부 의원들은 내년 1월 6일로 예정된 상·하원 합동회의까지 대선 불복 싸움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잇따른 소송전에서 승부를 봐 취임식 전에 결과를 뒤집는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한 고위 참모는 “(선거 불복 소송은) 대통령에게는 아주 좁은 길”이라면서도 “법적 이의 제기가 계속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AP통신에 전했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원내 상원대표도 바이든의 승리와 관련해 별도 입장을 표하지 않았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