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계 효과보려면…” 정부가 강조한 격상 조건

입력 2020-12-15 16:14
국내 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기세가 갈수록 거세지면서 신규 확진자 수가 1000명 선을 넘어선 지난 13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 쇼핑몰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심각해지는 국내 코로나19 상황에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정부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15일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3단계를 통해 효과를 보려면 전 사회적인 응집력이 중요하다”며 “전체가 준비하고 결집해서 효과를 확실하게 나타내는 조치가 3단계고 또 오래 할 수는 없으므로 사회적인 합의를 충분히 거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 역시 “3단계 격상으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피해가 크고 특히 소상공인의 피해가 크기 때문에 격상 기준을 넓게 잡은 것”이라며 “그 필요성과 시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사회적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거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3단계 조정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논의하지 않고 내부적 검토만 하는 상태”라고 전했다.

다만 정부는 현재 시행 중인 수도권 내 거리두기 2.5단계에 대해서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손 반장은 “이전 2단계를 적용했을 때 효과가 그렇게 크게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런 한계가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거리두기는 10~14일 정도 뒤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아직은 (평가가) 이른 시기라고 본다. 금주 후반을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이어 “거리두기가 오래되다 보니 국민적 피로감 때문에 함께 하는 동력도 같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견되고 있다”며 “지난주 이동량의 경우 직전 주에 비해 거의 정체 또는 수도권은 소폭 상승하는 경향으로 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반장은 병상 확보 방안에 대해 “중환자실에서는 인공호흡기, 에크모(인공심폐장치·ECMO) 등이 필요한 6~7등급 환자를 치료하는데 이분들의 증상이 개선될 경우 고유량 산소치료가 가능한 병실로 보내면 중환자실 회전율을 더 높일 수 있다”며 “위중증 환자 중 6~7등급에 해당하는 중환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지만 4~5등급 경계선에 있는 환자는 중환자실보다는 1인실에서 치료하는 부분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일반 환자가 입원하는 병상과 경증·무증상 확진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 상황을 두고 “어제 기준으로 생활치료센터의 가동률은 53.5%고 2987명을 받을 수 있는 상태다. 감염병 전담병원도 1448명, 이 가운데 수도권에서 542명을 더 받을 수 있다”며 “현재로서는 (민간병원 강제) 동원 같은 다소 극단적인 계획을 검토할 생각은 없다”고 답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