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7~9월) 강남구 역삼동, 논현동의 빌딩거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 지역들과 가까운 강남구 삼성동과 청담동, 대치동, 송파구 잠실동 등의 거래는 크게 줄었다. 정부가 지난 6월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일대에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한 후 빌딩 거래에도 풍선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5일 부동산정보 플랫폼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강남구 역삼동 빌딩 거래량은 총 44건으로 이전 분기(15건)의 3배에 가까웠다. 전국에서도 가장 많은 수준이다. 논현동도 전분기(20건)의 2배가 넘는 43건이 거래됐다. 신사동(38건)과 서초동(30건)도 2분기보다 거래량이 늘었다.
반면 삼성동(10건→5건)과 청담동(14건→5건), 대치동(9건→4건), 잠실동(4건→0건)으로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임하나 부동산플래닛 데이터랩센터장은 “역삼동, 논현동 등은 예전부터 빌딩거래가 많은 지역으로 꼽히지만 지난 6월 삼성동과 청담동, 대치동, 잠실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빌딩거래가 더 급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3분기 전국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은 2분기(1만9836건)보다 16% 늘어난 2만3011건이었다. 거래금액으로 보면 전 분기 17조1499억원보다 45.1% 늘어 24조8869억원을 기록했다. 빌딩과 상가·사무실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지역은 경기도(빌딩 1588건, 상가·사무실 1만5645건)였다. 빌딩은 세종시(138.5%), 상가·사무실은 전남(144.9%)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