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의료진·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가운데 중국에서 암거래가 빈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상보다 높은 가격으로 며칠 내로 백신을 맞게 해주겠다는 것으로 유학생들이 주 타깃이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5일 코로나19 백신 암거래상이 활개를 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7월 의료인·국유기업 해외파견자 등 고위험군에 긴급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수요가 급증하자 지하거래가 등장한 것이다.
암거래상은 SNS를 통해 출국을 앞둔 유학생 등에게 접근해 정상가의 최대 17배가 넘는 가격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백신이 아직 승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기 없이도 며칠 안에 백신을 맞게 해주겠다며 꼬드기는 게 주된 수법이다. 시노팜, 시노백 등 백신 개발사들과 연줄이 있어 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발언도 빠지지 않는다.
한 암거래상은 “3000위안(약 50만원)만 내면 베이징의 일급 공립병원에서 시노팜 백신을 2번 맞을 수 있게 해 주겠다”며 “국유기업 직원들과 함께 명단에 이름을 올려 긴급 백신을 맞을 수 있도록 해준다”고 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대부분 암거래상이 두 차례 백신 접종에 3000∼7000위안(약 116만원)을 요구한다고 전했다. 시노백 백신 1회분 가격이 200위안인 점을 고려하면 2회 접종에 최대 17배 비싼 가격이다.
시노팜 등 백신 개발사들은 개인이나 중개상에게 백신 판매를 위탁한 적이 없다며 암거래상들의 수법에 넘어가지 말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당국은 가짜 백신에 대한 주의보까지 내린 상황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이탈리아, 우간다 등에 있는 중국 대사관은 최근 자국민에 미승인 불법 백신을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그런데도 SNS상에는 백신을 구한다는 유학생들의 게시물이 넘쳐나고 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