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1999~2019년까지 ‘한국과 일본의 제조업 고령화 추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이 일본보다 2.9배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우리나라 제조업근로자 평균 연령은 1999년 35.5세에서 2019년 42.1세로 6.6세 높아진 반면, 일본은 40.4세에서 42.7세로 2.3세 증가했다.
99년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는 일본보다 4.9세 젊었으나, 2019년에는 차이가 0.6세로 좁혀졌다.
한경연은 지난 20여년간의 속도대로라면, 2022년부터는 한국 제조업 근로자가 일본보다 고령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양국의 제조업근로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한국은 청년층(15∼29세) 비중이 1999년 32.0%에서 2019년 16.0%로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졌다.
30‧40 비중은 30대가 6.3% 포인트 감소하고, 40대는 3.6% 포인트 증가해서 총 2.7% 포인트 줄어들었다.
반면 50‧60 비중은 크게 늘었다. 50대는 한 자리 수인 8.4%에서 22.4%로 14.0% 포인트 늘었고, 60세 이상은 1.7%에서 6.4%로 4.7% 포인트 증가했다.
일본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청년층(15∼29세) 비중이 줄었으나 감소폭은 6.4% 포인트로 한국보다 작았다.
30‧40 비중에서는 30대는 1.2% 포인트 감소했고, 40대는 3.7% 포인트 증가하면서 총 2.5% 포인트 늘었다.
50‧60도 비중이 모두 증가한 한국과 달리 일본은 50대 비중이 23.9%에서 22.4%로 1.5% 포인트 줄었고, 60대는 3.0%에서 8.4%로 5.4% 포인트 증가했다.
한경연 추광호 경제정책실장은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급속한 노령화는 생산성 하락에 따른 잠재성장률 저하를 야기하고, 특히 한국의 호봉급 위주의 임금체계와 노동시장 경직성을 감안할 때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과 신규채용 여력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