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제주도에 오려는 사람은 모두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아야 한다.
국내 코로나19 하루 확진자 수가 1000명을 돌파하는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감염 확산 규모가 급속히 커지면서 제주도가 입도객 진단 검사 의무화라는 초강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검사에 따른 저항과 관광객 감소시 도내 경제 악화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지만 코로나19 대유행에서 상대적으로 감염도가 낮은 제주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행정은 판단하고 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15일 오전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제주형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어 “입도객에 대한 진단 검사 의무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원 지사는 “최근 도내에서 발생하는 확진자 대부분이 여행객이나 타 지역을 방문하고 온 도민이었다”며 “지금 확산세를 막아야 일상을 지킬 수 있는 만큼 공·항만을 통해 감염원을 적극적으로 차단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판단에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관광객 등 도외 거주자들의 경우 현지에서 검사를 받은 뒤 음성 판정 증명서가 있어야만 제주 공항만을 통과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타 지역을 다녀온 제주도민에 대해서는 공항과 보건소 등 도내에 설치된 선별진료소에서 입도 후 3일 내 검사를 받도록 조치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제주도가 파악한 타 지역 방문 제주도민은 하루 1000명 내외다. 당일이나 1박2일 일정이 대부분인 만큼 도외 일정 중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3일내 검사를 받는 것으로 지역사회 감염을 막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방역 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도는 이 같은 코로나19 진단 검사 의무화 방안을 중앙 정부와 협의해 조만간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정부와의 협의 범위에는 검사 강제 지역 범위와 시기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다만 입도객 전원 진단검사 시행 시 이에 대한 저항과 관광객 감소를 우려하는 도민 사회 불만을 해소하는 작업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루 2~3만 명에 달하는 입도객들의 검사 확인서 대조 작업과 도외 방문 도민에 대한 메시지 발송·검사 확인 등 제도 시행에 필요한 인력 확보도 과제다.
도는 검사 결과지를 제출한 입도객들에 충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검사를 받지 않아 지역 감염원이 된 이들에게는 구상권을 청구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국내 코로나19 3차 대유행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그간 청정지역으로 분류돼 온 제주지역에도 확진자가 크게 늘었다.
15일 현재 확진자 129명 중 70명이 지난 11월 이후 발생했고, 이중 이달 들어서만 48명이 확진됐다. 확진자의 76%는 관광객이나 수도권 등 타 지역을 다녀온 제주도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