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전시상황에 준하는 엄정 대처를 요하고 있으므로 부득이 관련 법령에 따라 병상과 생활치료시설에 대한 긴급동원조치에 돌입한다”면서 “그 첫 사례로 경기도내 모 대학교 기숙사를 긴급동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해당 기숙사의 생활치료시설 전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곧바로 긴급동원명령이 발동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코로나19 3차 유행에 따른 병상 부족 사태와 관련, 이 같은 민간시설에 대한 첫 긴급동원조치 착수 사실을 알렸다.
첫 사례인 경기도내 모 대학교는 수원 소재 경기대학교이다.
도는 이날 경기대에 ‘생활치료센터 지정 알림 및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며 기숙사 1000실(2인 1실) 가운데 500실(1000 병상)을 먼저 생활치료센터로 활용하고 상황에 따라 이용 규모를 늘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대학 측과 학생, 학부모 여러분께서 사태의 심각성과 행정명령의 부득이함을 충분히 이해해주실 것으로 믿는다”면서 “절대 코로나19 앞에 도민의 안전이 방치되는 상황이 오지 않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지사는 민간시설에 대한 첫 긴급동원조치의 불가피성을 설명했다.
그는 “확진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의료시설, 의료역량, 생활치료센터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며 “경기도가 가진 모든 공공의료 인프라를 총동원하고 민간자원 동원을 위해 협의와 설득에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병실과 생활치료센터 확보가 환자발생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의 불가피성을 또 다시 피력했다.
그는 “더 큰 고통을 막기 위해 작은 고통을 감내해야 하듯이 전면봉쇄 상황으로 가지 않기 위해 거리두기 3단계 강화가 불가피하며 중앙정부에 3단계 조기격상을 건의했다”면서 “단일생활권인 수도권의 특성 때문에 서울, 인천과 공동행동도 중요한데 여의치 않을 경우 경기도만이라도 선제적으로 거리두기를 강화할 것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한편, 도내 코로나19 치료 병상 가동률은 90.6%(712개 중 645개 사용)로 전날 90.3%보다 높아져 더 악화한 상황이다.
중증환자 병상도 총 49개 중 47개를 사용하고 있어 2개만 남았다. 생활치료센터 5곳은 가동률 76.6%로 400개가 남아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