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중교통 컨트롤 타워 ‘경기교통공사’ 운영 돌입

입력 2020-12-13 07:23
경기도 제공

경기도는 교통 공공성 강화를 위해 핵심 공약 사업으로 추진한 ‘경기교통공사’가 최근 법인 설립등기 및 사업자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경기교통공사’는 도시 및 도농 복합 등 지역별 특성이 매우 다양한 경기도 시·군의 대중교통 체계를 통합·관리하는 교통 전담기구로,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대중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뒀다.

도 단위 광역지자체에서 교통공사를 설립하는 것은 이번이 최초로, 경기도 공공버스 운영·관리, 철도망 구축·운영, 대중교통환승시설 확대, 신교통수단 운영 등 대중교통 통합 컨트롤 타워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는 공공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대중교통에 대한 코로나19 방역 강화, 도민 보건·안전 확보 등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도민 교통기본권을 보장하는데도 적극 힘쓴다는 계획이다.

양주시 옥정신도시 중심상가지구에 청사를 마련한 경기교통공사는 지난해 설립 타당성 용역결과, 향후 5년간 1839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 1047명의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 규제 및 군사보호구역 등 중첩규제로 ‘특별한 희생’을 감내해온 양주시로의 교통공사 입주는 민선7기 도정핵심가치 ‘공정’을 실현하는 의미로, 경기 북부지역 광역교통발전의 신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조직은 1본부(경영기획본부), 4팀(경영기획팀, 준공영운영팀, 광역교통시설팀), 1센터(버스운송센터)로 구성되며, 버스승무사원을 포함한 정원은 총 98명이다. 사업추진을 위한 자본금은 185억원으로 경기도가 전액 출자한다.

초대 임원진으로 부시장 및 도 실국장 등 행정경험을 두루 갖춘 정상균 전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이 사장을,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전문위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비상임 감사 등을 역임한 이회수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상임부의장이 상임이사를 맡는 등 비상임이사·감사 총 10명이 참여한다.

법인 설립등기를 마침에 따라 행정안전부 설립보고 및 지정고시를 빠르게 완료하고 오는 17일 사업계획, 예산안 및 제규정 의결을 위한 제1회 이사회를 개최한다.

총 정원은 98명으로 직원 공채는 이달 중 실시할 계획이다. 초기 채용규모는 신입·경력직의 일반직 중심으로 30여명 정도로, 이후 내년 2월까지 순차적으로 정규직 채용을 완료할 예정이다.

정상균 사장은 “설립초기에는 공공버스 운영 등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서비스의 중단 없는 제공과 조직안정화에 주력하고, 빅데이터를 적용해 버스·철도·환승 등 대중교통을 융합·획기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