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가 2020년 미국 대선과 관련해 부정선거 또는 사기 행각이 있었다는 내용의 주장을 담은 영상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 미 전역에서 선거 인증 결과가 나온 이상 부정선거 주장은 가짜뉴스로 취급하겠다는 것이다.
유튜브는 지난 9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를 통해 “2020년 선거 결과를 지지한다”면서 “광범위한 선거사기나 투표기기 소프트웨어의 결함, 집계 오류가 대선 결과를 바꿨다고 주장하며 혹세무민 하는 콘텐츠는 삭제하겠다”고 밝혔다. 삭제 대상은 9일 이후 올려진 모든 콘텐츠다.
유튜브 측은 새 지침의 근거로 미국의 50개 주와 워싱턴DC가 모두 선거 결과를 문제 없이 인증했다는 점을 들었다. 미국 내 모든 선거 당국이 선거의 무결성을 인정한 만큼 더 이상의 ‘선거 부정’ 논란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정치전문매체 더힐에 따르면 유튜브는 이날 지침에 앞서 선거 기간 동안 대선과 관련해 오해 소지가 있거나 유해한 영상 수천 개를 차단해왔다. 유튜브는 삭제한 유해 영상의 77%가 조회 수 100번을 넘기 전에 삭제됐다는 입장이다. 반대로 말하자면 약관에 위배되는 콘텐츠 4개 중 1개는 구독자들에게 보다 광범위하게 전달된 셈이다.
미 공화당은 유튜브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려 든다며 강력 반발했다. 공화당 소속 조시 하울리 연방 상원의원은 “유튜브가 공식적으로 ‘의사 표현의 자유를 더는 허용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며 “선거의 무결성이 우려되더라도 가만히 앉아 입 다물고 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하울리 의원은 그러면서 소셜미디어의 폭넓은 자유를 보장하는 통신품위법 230조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신품위법 230조는 소셜미디어(SNS) 기업이 특정 정보를 제한하고 검열할 수 있는 권한을 합법적으로 행사할 수 있게 해주는 보호막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을 무기 삼아 SNS 기업들이 횡포를 저지른다며 폐지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부정선거 주장과 관련된 게시글 다수를 차단해온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이어 유튜브까지 이 같은 대열에 동참하며 극우 유튜버들의 목소리는 점차 힘을 잃게 될 전망이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