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과 국민의당, 전직 의원과 시민단체 등이 모여 ‘반문연대’를 논의하고 ‘문재인 정권 퇴진 투쟁기구’를 출범키로 결의했다. 다만 시민단체 대다수가 보수 성향이 짙다는 시각에 대해서는 “문재인 정권에 반대하는 모두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현실 인식과 처방에 대해서는 각각 생각이 다를 수 있지만 문재인 정권을 조기 퇴진하고 폭정을 종식해야 한다는 데는 다른 생각을 하는 분이 없는 거로 알고 있다”며 “많은 이들의 말을 듣고 국민의힘이 해야 할 일을 찾아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문재인 정권 폭정 종식을 위한 정당·시민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에서 말했다.
주 원내대표와 이태규 국민의당 사무총장, 김문수 전 경기지사, 무소속 윤상현 홍준표 의원, 보수 성향의 시민사회 단체 등이 참여한 연석회의에서는 대정부 투쟁기구를 출범하기로 결의했다. ‘폭정종식 민주쟁취 비상시국연대’ ‘문재인 퇴진 투쟁 국민연대’ 등이 기구 이름으로 거론됐다. 또 “문재인 정권의 폭정으로 국가 자체가 송두리째 없어질 위기”라며 “문재인 반역 세력을 조기 퇴진시키는 것이 급선무”라는 성명서를 냈다.
다만 연석회의는 구성 단계 시작부터 삐걱댔다. 보수 유튜버 정규재 펜앤드마이크 전 대표는 “시민단체와 국민의힘의 시국관이 너무 다르다. 차라리 정당을 빼고 시민사회단체로만 하자”고 주장했다. 김문수 전 경기지사는 “국민의힘에서는 광화문에서 태극기 들고나온 사람들을 극우라고 해버리니 말할 게 없다”면서도 “일주일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모임을 하자. 필요하면 작년처럼 국회 안에서 집회를 하면 우리가 가겠다”고 요구했다.
국민의힘 일각에서도 보수 성향 시민단체와의 재결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중도로의 당 외연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황교안 전 당대표가 ‘태극기 세력’과의 ‘노골적’ 결합으로 보수층 안에서만 세를 얻었던 것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 이후 기자들의 질문에 “당은 당의 할 일이 따로 있고 외곽 시민단체들은 시민단체 나름의 일이 따로 있기에 우리가 혼돈해서 할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당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실정을 비판하는 모두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게 주 원내대표의 생각”이라며 “향후 다양한 성향의 더 많은 단체와 함께할 것이니 이번 일만으로 판단하지는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