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철7호선 양주 옥정~포천 광역철도’ 포천시 공청회 무산

입력 2020-12-10 12:35 수정 2020-12-10 21:54
공청회 단상을 점거한 시민들. 박재구 기자

경기 포천시에서 10일 오전 열리기로 계획된 ‘전철 7호선 양주 옥정~포천 광역철도 연장사업’ 관련 공청회가 시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공청회 내용에 반발하는 시민들이 단상을 점거했기 때문이다.

이날 경기도는 포천반월아트홀에서 오전 10시부터 2시간 동안 ‘옥정~포천 광역철도 기본계획’ 사업에 대한 공청회와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설명회를 개최하기로 계획했다.

그러나 옥정~포천 광역철도 연장사업이 당초 계획인 객차 8량 직결 운행 방식과는 다르게 객차 4량 셔틀 운행 방식으로 변경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들은 반발했다. 단선운행에 따른 위험성, 기존 운행 중인 7호선 전체 시격 조정, 포천시의 운영적자 부담 우려 등의 이유 때문이다.

이에 포천시 각종 단체는 ‘포천시민 무시하는 셔틀운행 결사반대’ ‘양주시는 직결이고 포천시만 셔틀이냐’ 등의 현수막을 시 곳곳에 내걸고 반대에 나섰고, 시민 100여명은 공청회 시작 전부터 모여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공청회 진입을 위해 경찰과 대립 중인 시민들. 박재구 기자

시민들은 “객체 8량 직결이 아닌 4량 셔틀 운행은 포천을 가기 위해서 양주 옥정에서 내려 열차를 갈아타야 한다”며 “기존에 이용하는 버스에 비해 편리성도 떨어져 포천시민은 아무도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공청회에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시민의 출입을 5명으로 제한하자, 이곳을 찾은 시민들의 불만은 더욱 커졌다. 결국 시민들은 공청회 장소에 진입하기 위해 단체 행동을 벌였고, 경찰이 막아서자 일부 시민들은 건물의 다른 입구를 찾아 진입했다.

공청회 장소에 진입한 20여명의 시민들은 단상을 점거하고, 객차 4량 셔틀 운행 방식을 반대한다며 공청회 무효를 주장했다.

공청회 무효를 주장한 포천시민은 “경기도에서 형식적으로 공청회를 개최하고 포천시민들 몰래 사업을 밀어붙이려 하고 있다”며 “시민 5명이 어떤 의견을 낼 수 있겠나. 아직도 이 같은 깜깜히 행정을 하고 있다는 게 규탄스럽다”고 말했다.
공청회 진입을 시도하는 시민들. 박재구 기자

이어 “포천시민이 이용하는 철도를 건설하면서 시민의 의견을 묵살하는 내용의 공청회는 원천무효”라며 “기존 예비타당성 면제를 받은 사항대로 8량 직결로 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들의 단상 점거로 공청회를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경기도는 추후 계획을 다시 잡아 공청회를 열기로 하고, 오전 10시30분쯤 공청회를 마무리했다.

박윤국 포천시장은 “정부에서 경제적 논리가 아닌 접경지역의 주민들에게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해 준 것으로, 전철7호선 연장사업은 당초 원안대로 직결로 연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며 “향후, 경기도, 포천시 및 지역주민과 함께 최적의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주 옥정~포천 광역철도 건설사업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7호선 도봉산~양주 옥정 구간을 포천까지 연장하는 사업으로 총 17.45㎞ 구간에 1조1762억원을 투입한다.

이 사업을 위해 포천시민은 광화문에서 삭발 집회를 진행했고, 지난해 1월 정부의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에 선정될 수 있었다. 지난해 11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완료 당시 포천까지 객체 8량 직결로 검토·승인됐다. 경기도는 올해 4월부터 타당성 평가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 중이다.

포천=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