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이 더불어민주당의 고위공직자수사처(공수처)법 개정안 등 강행 처리에 강력 반발하며 장외투쟁 카드를 검토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정작 수적 우위를 앞세운 민주당의 입법 전략에 속수무책인 상태다.
국민의힘은 9일 야당의 공수처장 후보 비토권을 무력화한 공수처법 개정안 추진에 십자포화를 날렸다. 정권의 입맛에 맞는 공수처장이 권력형 비리 수사를 막는 데 앞장설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한 라디오 방송에서 민주당의 공수처법 개정과 관련해 “추미애 법무부 장관 같이 똑같이 막무가내로 법 절차를 무시하고 권력에 대한 수사를 방해할 소위 대깨문, 문빠, 이런 법조인을 (공수처장 후보로) 데려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가 추천한 훌륭한 사람들도 많은데 민주당이 반대했다”며 “중립성, 독립성이 보장 안 되고 연륜도 없는, 한마디로 깜냥이 안 되는 사람들을 데려와 놓고 동의를 안 했다며 폭거를 자행했다”고도 했다.
국민의힘 원내지도부는 오전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청했다. 국민의힘은 여당의 입법 추진 배경엔 문 대통령의 권력기관 개혁 의지가 반영돼 있다고 보고 있다.
주 원내대표는 국회 본회의에 앞선 의원총회에서 여권의 윤석열 검찰총장 때리기와 공수처법 개정 강행에 대해 “이 사태를 유발한 원인이자 최고책임자는 문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의 공수처법 통과를 바란다는 ‘오더’에 따라 착착 군사작전하듯 공수처를 무리하게 밀어붙이는 이유는 문 대통령이 책임질 일이 많기 때문”이라고 했다. 울산시장 선거 개입 의혹, 월성원전 1호기 조기폐쇄 의혹 등 살아있는 권력 수사를 막기 위해 여권이 공수처 출범을 밀어붙인다는 주장이다.
국민의힘은 전국 각 지역에서 1인 시위를 전개하거나 보수 성향 시민단체와 연대투쟁을 벌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형두 원내대변인은 “정부·여당의 폭거를 국민과 함께 반드시 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당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우려 때문에 대규모 장외투쟁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