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정의당 대변인의 브리핑을 문제 삼으며 낙태죄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입법을 도와주지 않겠다는 압박성 발언을 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정의당은 9일 브리핑을 열고 “공당 대변인에 대한 김남국 민주당 의원의 갑질 폭력을 즉각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정호진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어제 저녁 김남국 의원이 우리 당 조혜민 대변인에게 낙태죄 공청회 관련 브리핑 내용에 대해 항의 전화를 했다”며 “항의하는 방식이 매우 부적절했을 뿐 아니라 9분간 이어진 통화 내용은 집권여당 국회의원이 맞는지 의심케 할 정도”라고 지적했다.
정 수석대변인은 “심지어 (브리핑 관련) 조치를 하지 않으면 낙태죄 폐지는 물론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등 정의당이 하는 건 도와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며 “집권여당 국회의원이라고 믿기 어려운 명백한 갑질이자 협박으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폭력”이라고 강조했다.
정의당은 김 의원에 대한 징계 등 민주당 지도부에 조치를 요구했다. 합당한 조치가 없을 시에는 법적 대응까지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앞서 조 대변인은 전날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낙태죄 공청회를 비판하는 논평을 냈다. 조 대변인은 “‘낙태죄 폐지에 대한 여성들의 반대 의견은 잘 알겠으나 남성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 등 어이없는 말들을 일삼고 여성들의 삶을 짓밟았던 공청회에서의 망언들을 굳이 다시 언급하지는 않겠다”고 했다.
김 의원의 실명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해당 발언을 한 김 의원을 정면 비판한 것이다. 김 의원은 공청회에서 “낙태는 여성만의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남성이 함께 결정하고 책임질 문제”라고 말했다. 이후 김정혜 한국여성정책 연구위원에게 “법안에 대한 남성들의 인식을 알고 싶다” “20~30대 남성이 낙태죄를 바라보는 남성들의 시선이나 평가가 있나” 등의 질문을 던졌다.
김 의원은 정의당의 사과 요구에 자신을 ‘피해자’라 지칭하며 오히려 정의당 쪽에 사과를 요구했다. 김 의원은 “피해자의 사과 요구를 ‘갑질 폭력’으로 매도하다니 정의당이 어쩌다 이렇게까지 망가진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어 “낙태죄에 대한 남성의 의견을 묻지도 못하게 하는 것이 곧 폭력”이라며 “악의적으로 왜곡한 논평으로 폭력을 자행한 정의당에 책임있는 사과가 이뤄질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