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북한 코로나19 대응 관련 발언에 반발하며 남북 관계가 더욱 나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로나19와 미국 정권교체로 예민한 시기에 우리 정부 고위 당국자가 자신들의 체제와 ‘최고존엄’을 사실상 공개 비판한 데 불만을 표시했다는 평가다.
김 제1부부장은 9일 조선중앙통신에 발표한 담화문에서 최근 있었던 강 장관의 발언을 거론하며 “앞뒤 계산도 없이 망언을 쏟는 것을 보면 얼어붙은 북남(남북) 관계에 더더욱 스산한 냉기를 불어오고 싶어 몸살을 앓는 모양”이라고 밝혔다.
김 제1부부장은 특히 “그 속심 빤히 들여다보인다”며 “정확히 들었으니 우리가 두고두고 기억할 것이고 아마도 정확히 계산돼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제1부부장이 대남 비난에 나선 것은 약 6개월 만이다.
강 장관은 지난 5일(현지시간)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가 주최한 중동 지역 국제안보포럼 ‘마나마 대회’에 참석해 “코로나19가 북한을 더 북한답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여파로 북한 사회의 폐쇄성과 톱다운(하향식) 방식의 의사결정 구조가 강화됐다는 것이다. 강 장관은 또 북한이 코로나19 환자가 없다고 주장하면서도 통제에 집중하고 있다며 “조금 이상한 상황”이라고도 말했다.
북한은 이번 발언을 체제와 최고존엄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대한 ‘모독’으로 규정하고 김 제1부부장을 전면에 내세운 것으로 보인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올해 들어 김 제1부부장은 오빠 김 위원장의 권위가 훼손됐다고 판단될 경우 대남 비난 담화문을 발표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며 “김 위원장이 코로나19 환자가 없다고 밝혔는데, 강 장관이 이에 대한 의문을 공개적으로 표하고 체제 비판적 발언까지 하자 김 제1부부장이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0월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 연설에서 “한 명의 악성비루스(바이러스) 피해자도 없이 모두가 건강해줘서 정말 고맙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북한은 김 제1부부장의 담화문을 북한 주민들이 볼 수 없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보도하며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도 보였다. 지난 6월 국내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비판하는 김 제1부부장의 담화문을 노동신문 1면에 게재한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조 위원은 이에 대해 “코로나19에 미국 정권교체기까지 겹치면서 국내외 상황이 복잡한 만큼 우리와의 관계를 불필요하게 악화시키지 않겠다는 의도”라고 평가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