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절반 이상이 내년 4월 재·보궐 선거와 관련해 ‘야당의 정부·여당 견제론’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정부·여당을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51.8%로 나타났다.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39.8%로 조사됐다. ‘잘 모르겠다’는 8.3%였다.
국민일보가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7~8일 2일간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60세 이상(60.2%), 대구·경북(66.7%), 대전·세종·충청(61.9%), 보수층(75.3%), 중도층(61.4%), 무당층(59.0%), 국민의힘(91.5%) 및 국민의당(79.4%) 지지층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역별로는 광주·전남·전북과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정부·여당 견제 응답이 안정적 국정 운영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40대(53.9%), 광주·전남·전북(62.9%), 진보층(73.2%), 더불어민주당(85.5%) 및 열린민주당(68.6%) 지지층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주에선 ‘안정적 국정운영’ 54.2%, ‘정부·여당 견제’ 35.6%로 조사됐다.
내년 재보선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서울시장 보궐선거 민심은 야당의 정권 견제론에 우호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 지역에서 정부·여당 견제 응답은 54.8%로 안정적 국정 운영(40.0%)보다 14.8% 포인트 높았다. 부산시장 보궐선거 민심을 가늠해볼 수 있는 부산·울산·경남에서도 정부·여당 견제 응답은 52.5%로, 안정적 국정 운영(34.3%)보다 18.2% 포인트 높았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 정서가 재보선 지역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며 “추미애·윤석열 갈등 국면으로 인한 피로도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