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로봇해설사 도입 등 코로나 이후 문화유산 미래 전략 발표

입력 2020-12-09 11:50 수정 2020-12-09 11:53
앞으로 문화유산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디지털 댐이 구축되고 로봇해설사가 도입되며 문화유산 시설은 저탄소 친화적으로 개선된다. 문화재청은 이런 내용의 7개 중점 과제를 중심으로 ‘코로나 이후 문화유산 미래 전략’을 수립해 9일 발표했다.

문화재청은 “ 코로나 상황의 장기화와 이로 인한 국민 인식의 변화 등으로 인해 기존과 다른 방식의 문화유산 보존ㆍ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라며 “국민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문화유산 보존·활용에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2030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추진되는 이들 중점 과제는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해 문화재를 보존·활용하고, 문화재를 치유공간으로 활용하며, 시민 중심의 문화유산 보존 방식을 도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수리ㆍ발굴 등 모든 문화유산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저장ㆍ관리하는 시스템인 ‘데이터 댐’을 구축하는 등 문화유산 디지털 기반을 마련한다. 둘째 사물인터넷(IoT)․드론․레이더기술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문화유산을 관리하는 등 첨단기술 기반 안전한 예방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셋째 문화유산이 감염증에 지친 국민에게 치유 아이콘이 되도록 궁궐, 왕릉 등을 활용한 치유형 역사문화 공간도 조성된다. 넷째 방치된 문화유산을 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등 문화유산을 친환경 녹색 공간으로 전환하는 사업도 진행한다. 다섯째,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신산업·일자리 창출도 추진하는데, 이를 위해 생애주기별 문화유산 산업 활성화 지원, 전통재료 산업단지 조성 등이 세부 사업으로 마련됐다. 여섯째 국민의 문화유산 접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한 궁궐 관람서비스 제공하거나 로봇 해설사를 도입하는 등 ‘실감형 문화유산 콘텐츠 활용 지원’ 과제도 추진된다. 마지막으로 지역 주민이 문화유산을 활용해 공동체를 회복하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문화유산 기업을 육성하고 생활밀착형 문화유산을 보존과 활용도 추진된다.

손영옥 미술·문화재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