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무료접종·부작용 배상 검토…집단면역은 내년 하반기”

입력 2020-12-09 09:41 수정 2020-12-09 10:18
AFP연합

코로나19 예방 백신 4400만명분을 사실상 확보한 정부가 국내 집단감염 완료 시점을 내년 하반기로 내다봤다. 접종은 무료 공급과 함께 부작용에 대해서도 국가가 배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향후 백신 접종 계획을 설명하며 일각에서 나오는 우려들을 바로잡았다. 그는 먼저 ‘확보한 백신양이 모자란 것 아니냐’는 지적에 “집단면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총인구의 50~60%를 접종하면 된다”며 “그 점을 고려할 때 인구 전체분을 확보해야 한다는 전략이 타당한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발표한 부분들은 현재 2상에서 3상까지 개발이 제일 선도적인 그룹들에 대한 1차 구매분이다. 앞으로도 백신은 더 개발될 거고 그중에서도 좋은 백신이 나올 수 있다”며 “그런 부분까지 고려해 추가 계약도 추진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에 물량 자체는 지금 확보한 것만으로도 코로나 종식 단계까지는 충분한 물량”이라고 전했다.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미국의 화이자·존슨앤드존슨-얀센·모더나 등 4개 제약사를 통해 골고루 나눠 확보한 데 대해서는 “실패 위험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손 대변인은 “이 백신들이 안전성 검증을 하긴 했지만 통상적인 백신 안전성 검증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으로 단축 검증을 한 것”이라며 “소수의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전 인구 대상으로 들어가는 의약품이기 때문에 실제 접종 과정에서 어떤 부작용이 나올지 예측하기가 다소 어려운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하나를 많이 사는 것보다 분산시킨 뒤 상황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게 대부분 전문가의 의견이었다”고 덧붙였다.

접종 순서를 두고도 “전문가들과 논의해서 발표될 것”이라며 “현재는 대략 코로나19 치명률이 가장 높은 노인 계층과 보건의료 종사자 분들의 우선순위가 높다”고 밝혔다. 노인, 집단 시설 거주자, 만성질환자, 의료진, 경찰·소방공무원 같은 사회 필수인력부터 접종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이어 ‘집단면역 완성 시점’에 대한 질문에 “내년 하반기 정도에는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외국과 시작 시기는 서로 좀 다를 수 있지만 집단면역을 형성하는 시기는 크게 차이 날 것 같지는 않다”고 예상했다.

손 대변인은 “비용은 두 개가 합산돼 형성될 텐데 하나는 백신이라고 하는 그 의약품 자체 가격이고 나머지 하나는 의료기관이 받는 접종비다. 백신 자체는 국가에서 무료로 공급한다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다만 접종비는 필수적으로 맞아야 하는 분들에 대해서는 우선 무료라는 방침을 정했고 그 이상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 정책적 사항이기 때문에 백신 부작용에 대해서도 국가가 배상한다”고도 했다.

앞서 정부는 8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코로나19 백신 확보 계획을 의결했다. 복지부는 브리핑에서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000만명분, 글로벌 백신 제약사를 통해 3400만명분의 백신을 선구매한다”고 발표했다. 제약사와의 개별 계약으로 확보하려는 3400만명분은 총 접종 횟수 기준으로 6400만 도즈(1회 접종분)다. 코로나19 백신은 제품에 따라 1회 또는 2회 투여가 필요하다. 제약사별 물량은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모더나 각 2000만 도즈, 존슨앤드존슨-얀센 400만 도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